이 세상의 모든 플랜트 프로젝트 정보
중동플랜트소식 (No.231, 2010년 06월 25일) 본문
1. UAE 가스코의 루와이스 유황처리터미널 프로젝트
가스코가 발주하는 루와이스 유황처리 터미널 프로젝트의 입찰서가 지난 6월 10일에 발급되었으며, 기술 제안서의 제출 마감일은 7월 6일, 상업 제안서는 8월 2일로 정해졌다. 이 프로젝트는 일일 20,000톤의 유황처리시설과 수출 터미널을 건설하는 사업으로 투자비는 20억 불로 예상된다. 월리파슨스가 FEED를 맡고 있는 가운데, PQ를 제출한 테크닙, 페트로팩, 테킨트, CCC, 도쌀, 현대중공업, SK건설 등이 입찰에 참여할 것으로 보인다.
2. UAE 가스코의 합산 유황처리시설 프로젝트
루와이스 유황처리터미널 프로젝트와는 별도로 합산 유황처리시설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는 가스코는 지난 6월 10일부터 입찰 참여 대상 업체를 접촉하였으며, 조만간 입찰서를 발급할 예정이다. 이 프로젝트는 일산 10,000톤의 유황처리 및 입상화시설을 합산지역에 건설하는 사업으로 투자비는 5억 불 규모다.
3. UAE 아부다비가스개발회사의 샤 가스전 유황처리시설 프로젝트
아부다비가스개발회사 (ADGD)도 가스코와 마찬가지로 샤 가스전 유황처리시설 프로젝트의 입찰서를 곧 발급할 예정이다. 이 프로젝트는 샤 가스전에 발생된 일산 10,000톤의 유황처리 및 입상화시설을 건설하는 5억 불 규모 사업으로 18개사가 입찰에 초청받을 것으로 알려졌다.
4. UAE 아부다비가스개발회사의 샤 가스전 개발 프로젝트 중 PMC 패키지
아부다비가스개발회사 (ADGD)가 발주한 샤 가스전 개발 프로젝트의 PMC로 지난 6월 21일 플루어가 선정되었다. 플루어의 계약 금액은 1.6억 불이며, 이 PMC용역을 수행하기 위하여 2014년 완공 시까지 110명의 전문 기술자를 투입한다. 이미 이 초대형 프로젝트의 FEED를 수행한 바 있는 플루어는 PMC업무와 함께 유황회수시설의 기술도 제공한다.
5. UAE 아부다비가스개발회사의 샤 가스전 개발 프로젝트 중 디지털제어시스템 (DCS) 패키지
아부다비가스개발회사 (ADGD)는 샤 가스전 개발 프로젝트 중 통합 디지털제어시스템 (DCS) 패키지를 미국의 하니웰이 수주하였다고 지난 6월 23일 밝혔다. 하니웰은 일산 10억 입방피트의 샤 가스전 개발 프로젝트의 모든 생산시설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첨단 디지털제어시스템을 EPC턴키로 설치한다.
6. UAE 아부다비가스개발회사의 샤 가스전 개발 프로젝트 중 건물공사 패키지
샤 가스전 개발 프로젝트의 유황처리시설과 관련, 유황파이프라인이 철도수송으로 변경되면서 건물공사의 업무 범위가 크게 바뀜에 따라, 발주처에서는 입찰자 선정을 위한 PQ를 다시 실시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6억 불 규모의 건물공사 패키지에 대한 입찰서는 오는 9-10월 경에 발급될 예정이다.
7. UAE 보루쥐의 올레핀 콤플렉스 3단계 확장사업 중 가교 폴리에틸렌 패키지
보루쥐가 발주하는 올레핀 콤플렉스 3단계 확장사업의 마지막 패키지인 가교 폴리에틸렌 (XLPE) 플랜트의 EPC입찰서가 지난 6월 17일에 발급되었으며, 현대건설과 SK건설을 포함한 5개 업체가 입찰에 초청받았다. 이 패키지는 케이블에 사용되는 특수 화학 제품인 가교 폴리에틸렌 생산공장을 건설하는 2억 불규모의 사업으로, 40%의 지분을 갖고 있는 보리알리스가 기술을 제공한다.
8. UAE 두바이정부의 폐기물 발전소 프로젝트
두바이 정부가 발주하는 폐기물 발전소 (Waste-to-Energy Plant) 프로젝트의 입찰서가 지난 5월 31일 발급되었으며, PQ에 통과한 14개사가 입찰에 초청을 받았다. 입찰 준비 기간은 4개월 이나, 입찰자들의 요청에 따라 연장될 수 있다고 밝혔다. 이 프로젝트는 하루에 6,500톤의 쓰레기를 처리하여 에너지를 생산하는 폐기물 발전소 프로젝트로 컨설턴트는 프랑스의 캐비넷 멀린 (Cabinet Merlin)이며, 입찰자들은 BOT 혹은 턴키 방식으로 프로포잘을 제출할 수 있다.
9. UAE 아부다비기초산업회사와 미달 케이블의 알루미늄 로드 플랜트 프로젝트
중동의 GCC가 알루미늄 산업의 메카로 떠오르고 있는 가운데, 특히 아부다비에서 알루미늄 다운스트림 프로젝트가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바레인의 민간제조업체인 미달 케이블 (Midal Cables)은 아부다비기초산업회사 (Adbic)와 공동으로 1억 불을 투자하여 알루미늄 로드공장 건설을 추진하고 있으며 EPC입찰서를 오는 9월에 발급한다. 이 프로젝트는 연산 15만 톤의 알루미늄 로드와 연선 공장을 타윌라의 칼리파 산업항구지역에 건설하는 사업으로 2011년 초에 착공하여 2012년 말에 완공될 예정이다. 이와는 별도로 아부다비기초산업회사는 연산 5만 톤의 1.22억 불짜리 알루미늄 압출공장을 칼리파지역에 건설하기로 두바이의 걸프익스트루죤 (Gulf Extrusions)와 합작계약을 체결하였으며, 또한15억 불이 소요되는 연산 50만 톤규모의 알루미늄 압연공장 건설을 계획하고 있다.
10. UAE 두바이국영석유회사의 알잘리라 해상원유생산시설 프로젝트
두바이국영석유회사가 발주하는 알잘리라 (Al-Jalilah) 해상원유생산시설 프로젝트의 EPC입찰이 지난 6월 23일에 마감되었으며, 테크닙, 맥더모트, NPCC 등을 포함한 5개 업체가 프로포잘을 제출하였다. 이 프로젝트는 하루에 5,000 내지 10,000 배럴의 원유를 생산할 수 있는 알잘리라의 해상 유전지대에 무인 생산 플랫폼과 12킬로미터의 해저파이프라인을 건설하는 1억 불 규모의 사업이다.
11. 쿠웨이트 수전력부의 미나 압둘라 송수장 (WDC II) 프로젝트
수전력부 (MEW)가 발주하는 미나 압둘라 지역 송수장 (WDC II) 프로젝트의 재입찰이 지난 6월 13일에 마감되었으며, 이집트의 아랍콘트랙터스가 2.37억 불의 최저가로 응찰하였다. 입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위 아랍콘트랙터스 2.37억 불 (KD 68.8 Mill.), 2위 ABB 2.5억 불 (KD 72.5 Mill.), 3위 GS건설 2.64억 불 (KD 76.6 Mill.), 4위 스남프로게티 2.75억 불 (KD 79.8 Mill.), 5위 마루베니 3.23억 불 (KD 93.6 Mill.), 6위 두산중공업 3.57억 불 (KD 103.7 Mill.)
12. 사우디 아람코의 와싯 가스전 개발 프로젝트
아람코가 발주하는 와싯 (Wasit) 가스전 개발 프로젝트의 입찰서가 6월 27일에 발급되었으며 PQ에 통과한 12개사가 입찰에 초청을 받았다. 입찰은 ① 가스처리시설, ② 열병합발전소, ③ 유황회수시설 및 동력시설, ④ NGL 분류시설 등의 4개 패키지로 나누어 실시되며, 입찰 마감일은 9월 29일이다. 이 프로젝트는 하스바와 아라비야 해상유전에서 나오는 일산 25억 입방피트의 가스를 처리하는 사우디 역사상 가장 큰 가스전 개발사업으로 기록되며, 전체 투자비는 60-80억 불 규모로 예상되고 있다.
13. 사우디 아람코의 킹압둘라지즈 문화센터 프로젝트
아람코가 발주한 킹압둘라지즈 문화센터 프로젝트를 사우디의 오거 (Oger)가 지난 6월 24일 4억 불에 계약하였다. 오거는 2005년에 암살된 레바논 수상의 가족들이 소유하고 있는 사우디 최대 건설회사 중 하나로, 다란의 사막에 5개 커다란 돌 기둥 모양의 건축 구조물을 2013년 3월까지 건설하게 된다.
14. 사우디 전력회사의 쿠라야 민자 복합화력발전소 프로젝트
사우디전력회사 (SEC)가 발주하는 쿠라야 민자 복합화력 발전소 프로젝트의 PQ가 지난 6월 20일에 마감되었으며, 16개 회사가 참여하였다. 입찰서는 오는 7-8월 경에 발급할 예정이다. 이 프로젝트는 사우디전력청이 BOO방식으로는 세 번째로 추진하는 1,800 MW규모의 복합화력 발전소 건설사업으로 25억 불의 투자비가 소요된다.
15. 알제리 소나트랙과 토탈의 아르쥬 에탄 크래커 프로젝트
소나트랙과 토탈이 공동으로 발주하는 아르쥬 에탄 크래커 프로젝트의 입찰이 테크닙과 린데의 두개사간 경쟁으로 좁혀졌다. 이에 따라 테크닙과 린데는 1차적으로 FEED 경쟁을 벌여 낙찰 업체로 선정되어야만 EPC업무를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에탄 크래커의 설비용량은 연산 110만 톤으로 투자비는 14억 불로 예상되고 있다
16. 이집트 전력에너지부의 다이루트 민자 발전소 프로젝트
이집트 전력에너지부가 발주하는 다이루트 민자 발전소 프로젝트의 PQ에 10개사가 통과하였으며, 입찰 마감일은 9월로 예정되어 있다. 이 프로젝트는 1,500 MW의 복합화력발전소를 BOO방식으로 건설하고 20년간 운영하는 사업으로 ① 스미토모, ② 터키의 엔카, ③ 프랑스의 EDF, ④ 사우디의 ACWA와 현지 하싼의 컨소시엄, ⑤ 말레이시아의 파워텍, ⑥ 말레이시아의 TNB, ⑦ 인도의 GMR, ⑧ 수에즈, OCI, 소지쓰의 컨소시엄, ⑨ 미쯔이, ⑩ 마루베니 등이 입찰에 초청을 받았다.
17. 이라크 머천트브리지와 라파즈의 카르발라 시멘트공장 복구사업
영국투자회사인 머천트브리지와 세계 최대의 시멘트회사인 프랑스 라파즈의 조인트벤처가 공동으로 발주하는 카르발라 시멘트공장 복구사업 입찰에서 4개사가 EPC 프로포잘을 제출하였으며, 오는 8월 초에 낙찰 업체가 선정될 예정이다. 이 프로젝트는 연산 2백만 톤의 카르발라 시멘트공장을 복구하는 2억 불 규모의 사업으로 발주처는 복구사업과는 별도로 건설요원 600명을 수용할 캠프와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와도 최종 협상을 벌이고 있다. 복구사업의 계약기간은 30개월로, 9월에 공사를 시작하여 2013년 3월에 완료할 계획이다.
(입력:
'중동플랜트소식 (2005-2014)'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동플랜트소식 (No.233, 2010년 07월 04일) (0) | 2011.03.04 |
---|---|
중동플랜트소식 (No.232, 2010년 06월 30일) (0) | 2011.03.04 |
중동플랜트소식 (No.230, 2010년 06월 20일) (0) | 2011.03.04 |
중동플랜트소식 (No.229, 2010년 06월 13일) (0) | 2011.03.04 |
중동플랜트소식 (No.228, 2010년 06월 06일) (0) | 2011.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