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세상의 모든 플랜트 프로젝트 정보

글로벌 플랜트소식 (No. 153, 2017년 09월 29일) 본문

글로벌플랜트소식 (2015-2019)

글로벌 플랜트소식 (No. 153, 2017년 09월 29일)

조성환 2017. 9. 29. 11:38

중동

 

1.  쿠웨이트 KOC의 쥐라기 가스플랜트 1단계 프로젝트



KOC가 발주하는 초대형 쥐라기(Jurassic) 가스플랜트 1단계 프로젝트의 EPC입찰서가 9 24일 발급되었으며 입찰 마감일은 2018227일이다. PQ에 통과한 SK건설/페트로팩 컨소시엄, 삼성엔지니어링/L&T 컨소시엄, 사이펨/테크니카스 리유니다스와 컨소시엄 등이 입찰에 초청받았다. 이 프로젝트는 쥐라기 가스플랜트를 건설하는 36억 달러 규모의 초대형 사업으로 2021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가스플랜트에는 일산 5.9억 입방피트의 가스와 22만 배럴의 원유, 그리고 1,200톤의 유황을 처리하는 중앙처리시설(CPF)과 간접시설 및 파이프라인 취합시설을 포함하고 있다. 미국의 블랙앤비치가 유황 및 산성가스 회수시설에 대한 라이센서를 맡고 있다.

 

2.  사우디 아람코의 사파니야 유전개발 6단계 프로젝트

 

사우디 아람코가 발주하는 사파니야(Safaniyah) 유전개발 6단계 프로젝트의 EPC입찰이 마감된 가운데, 발주처의 상업 및 기술 검토가 진행 중이다. 현재까지 알려진 바로는 입찰에 참여한 5개사 중 미국의 맥더모트(McDermott)UAENPCC가 쇼트리스트에 올라 경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프로젝트는 10개의 재킷, 9기의 플랫폼 덱크, 해저파이프라인 및 케이블, 배전시설 플랫폼 등의 시설을 건설하고 일부 노후시설을 철거하는 10억 달러 규모의 사업이다.

 

3.  사우디 재생에너지개발청의 사카카 태양광 발전단지 프로젝트

 

사우디 에너지산업광물부 산하의 재생에너지개발청(REPDO)이 민자로 발주하는 사카카(Sakaka) 태양광 발전단지 프로젝트의 입찰 마감일이 10 2일로 확정되었으며, 입찰가격 공개는 10 3일에 이루어질 예정이다. 이 프로젝트는 300MW의 태양광 발전단지를 알조우프(Al-Jouf)의 사카카 지역에 민자로 건설하는 6억 달러 규모의 사업이다.

 

4.  UAE 연방수전력청의 라스알카이마 민자 석탄화력발전소 프로젝트

 

연방수전력청(FEWA)이 추진하는 민자 석탄화력발전소 프로젝트의 참여의향서(EOI) 요청서가 오는 9 28일에 발급될 예정이다. 이 프로젝트는 UAE에서는 두 번째로 1,800MW의 석탄화력발전소를 에미레이트 북쪽의 라스알카이마 마리타임시티에 민자로 건설하는 30억 달러 규모의 사업이다.

 

5.  오만 트레스콥의 소하르 석유 터미널 프로젝트


 

싱가포르의 석유중개상인 트레스콥(Trescorp)은 소하르 항에 6억 달러를 투자하여 벙커링 용 석유터미널을 건설할 계획이라고 9 25일 밝혔다. 이 프로젝트는 1단계로 32만 톤의 VLCC가 정박할 부두시설과 함께 60만 입방미터의 저장시설, 원유와 경유 블렌딩 시설 등이 포함된 터미널을 신규로 건설하는 1.9억 달러 규모의 사업으로 2018년 착공, 2020년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2단계에서는 저장능력을 180만 입방미터로 늘리고, 가솔린과 윤활유 블렌딩 시설이 추가될 예정이다.

 

6.  이라크 한국가스공사의 아카스 가스플랜트 개보수 프로젝트

 

한국가스공사가 발주하는 아카스(Akkas) 가스플랜트 개보수 프로젝트의 FEED페트로팩이 지난 9 26일 수주했다. 이 프로젝트는 아카스 유전 내 나시리야(Nasiriya) 가스플랜트를 개보수하기 위한 사업이다.  


아프리카

 

7.  나이지리아 킹라인의 온도 가스발전소 1단계 프로젝트


 

한국의 발전전문 개발업체인 킹라인디벨롭먼트(Kingline Development Nigeria)가 발주한 온도(Ondo) 가스발전소 1단계 프로젝트의 EPC현대엔지니어링이 지난 9 22 3.3억 달러에 수주했다. 이 프로젝트는 1단계로 GE가스터빈을 사용한 550MW급 개방사이클 가스발전소를 라고스에서 북동쪽으로 170킬로미터 떨어진 온도 공업단지에 건설하는 사업으로 공사기간은 2년이며, 2019 3분기에 준공될 예정이다. 2단계 프로젝트는 550MW급 가스발전소를 추가하는 2.5억 달러 규모의 사업으로 2019 1분기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킹라인디벨롭먼트는 준공 후 생산되는 전기를 20년동안 나이지리아 전력회사에 판매해 수익을 거둘 계획이다.  

 

8.  적도기니 오파이어에너지의 포르투나 FLNG 프로젝트


 

영국의 오파이어에너지(Ophir Energy)가 적도기니에서 발주하는 포르투나(Fortuna) FLNG프로젝트의 해저시스템 패키지에 대한 EPC업체 선정이 오는 2017년 말 최종투자결정(FID)과 함께 이루어질 전망이다. 당초 해저시스템 패키지의 EPC업체로 맥더모트와 GE의 컨소시엄이 유력했으나, 서브시세븐(Subsea 7)에이커(Aker)의 컨소시엄이 이를 뒤 엎고 수주가 임박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프로젝트는 적도기니의 비오코(Bioko) 섬 해안에서 140킬로미터 해상에 위치한 R블록에서 연산 250만 톤의 부유식 LNG를 개발하는 20억 달러 규모의 사업으로 월리파슨스가 PMC를 맡고 있다. 이 중 해저시스템 패키지는 SURF 4기의 해저생산시스템(SPS)으로 구성된 3억 달러의 사업이다.


아시아

 

9.  말레이시아 페트로나스의 RAPID 프로젝트 중 엘라스토머 패키지


 

페트로나스가 취소한 바 있는 RAPID 엘라스토머 플랜트 프로젝트를 재개하는 쪽으로 움직이고 있는 것이 감지되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연산 35만 톤의 엘라스토머(Elastomer) 플랜트를 건설하는 13억 달러 규모의 사업으로 GS건설이 최저가로 응찰했으나, 부정적인 시장 전망과 투자 회수율이 작다는 이유로 지난 20164월 계약 진행이 중단된 바 있다.

 

10. 중국 리선석탄화학의 허베이 정유공장 프로젝트

 

중국의 국가발전개혁위원회(NDRC)는 코크스 및 석탄화학제품 판매회사인 리선석탄화학(Risun Coal Chemicals Co.)이 추진하는 허베이 정유공장 프로젝트를 지난 9 25일 승인했다. 이 프로젝트는 일산 30만 배럴의 정유공장을 허베이 성의 챠오페이댠(Caofeidian)에 건설하는 60억 달러 규모의 사업이다.

 

11. 인도 가일의 고다바리 석유화학 콤플렉스 프로젝트

 

인도 국영에너지기업인 가일(Gail)은 신규 석유화학 콤플렉스를 건설하기 위해 기후변화환경삼림부(Ministry of Environment, Forest and Climate Change)측과 협의하고 있다고 9 25일 밝혔다. 이 프로젝트는 연산 1백만 톤의 에틸렌과 그 다운스트림 플랜트를 안드라 프라데시 주의 고다바리(Godavari) 동부에 건설하는 50억 달러 규모의 사업이다.

 

12. 인도 첸나이석유의 나가파티남 정유공장 프로젝트

 

첸나이석유(Chennai Petroleum Corp. Ltd.)가 추진하는 나가파티남(Nagapattinam) 정유공장 프로젝트를 지주회사인 인도국영석유회사(IOC)가 지난 922일 원칙적으로 승인했다. 이 프로젝트는 일산 18만 배럴의 신규 정유공장을 나가파티남의 카우베리 분지(Cauvery Basin)에 건설하는 40억 달러 규모의 사업이다. 첸나이석유(CPCL)의 지분은 인도국영석유회사가 51.9%, 이란 석유공사의 자회사인 납티란(Naftiran) 15.4%를 보유하고 있다.


미주

 

13. 미국 베레센의 조던코브 LNG플랜트 프로젝트


 

캐나다의 베레센(Veresen Inc)은 조던코브(Jordan Cove) LNG플랜트 프로젝트의 생산능력과 투자비를 크게 늘린 새로운 프로포잘을 연방에너지규제위원회(FERC)에 다시 제출했다고 9 23일 밝혔다. FERC 2016년에 상업성의 부족과 지주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이유로 프로젝트 승인을 반려한 바 있다. 새로운 프로포잘에 의하면 투자비는 75억 달러에서 100억 달러로, 플랜트 생산능력은 연산 600만 톤에서 780만 톤으로 늘어났으며 420MW의 가스복합화력발전소와 370킬로미터의 천연가스 파이프라인도 포함되었다. 최종투자결정(FID)2019년으로 예정되어 있는 가운데. JGC/키위트(Kiewit)/블랙엔비치(Black & Veatch) 컨소시엄의 EPC수주가 유력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14. 아르헨티나 아라우코풍력발전회사의 아라우코 풍력발전단지 3 & 4 단계 프로젝트


 

아라우코풍력발전회사(Parque Eólico Arauco SAPEM)가 발주하는 아라우코 풍력발전단지 3 & 4 단계 프로젝트의 터빈공급 패키지를 지멘스가메사가 지난 9 21일 수주했다. 이 프로젝트는 3.465MW급 터빈 28기로 구성된 97MW의 풍력발전단지를 아르헨티나 북서부에 있는 라리오하(La Rioja) 주에 건설하는 2억 달러 규모의 사업으로 2019 1분기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유럽

 

15. 노르웨이 스탯오일의 트롤 가스전 가스처리시설 모듈 프로젝트


 

노르웨이 국영회사인 스탯오일(Statoil)이 발주하는 트롤(Troll) 가스전 가스처리시설 모듈 프로젝트의 FEED에이커솔루션(Aker Solutions)이 지난 9 21일 수주했다. 이에 따라 에이커솔루션은 후속으로 발주되는 신규 모듈에 대한 EPC를 수행할 수 있는 옵션을 갖게 되었다. 이 모듈은 트롤 A 플랫폼에 장착되어 트롤 서부 가스전에서 생산되는 가스를 처리하는 시설이며, 처리된 가스는 콜스네스(Kollsnes) 육상 가스플랜트로 보내진다

728x90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