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1521)
이 세상의 모든 플랜트 프로젝트 정보
1. 사우디 아람코와 일본 스미토모의 합작법인이 의욕적으로 추진 중인 라빅 정유 및 석유화학 프로젝트의 투자비가 당초 계획 43억불에서 2005년 8월에 86억 불로 증액한 바 있으며, 최근 기자재와 EPC가격의 상승으로 총 투자비가 99억 불까지 들어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최근에 17개의 은행으로 구성..
1. 사우디 아람코가 얀부와 쥬베일 지역에 100억 불을 투자하는 2개의 신규 정유공장 프로젝트의 FEED와 PMC 서비스를 위한 PQ 서류 제출이 지난 2월 12일에 마감되었다. PQ에 참여한 서방 선진국 7개 회사는 미국의 플루어, 포스터휠러, 무스탕, 벡텔, 워싱턴과 프랑스의 테크닙, 그리고 호주의 월리파슨스이다. 2. 사우디 아람코에서 발주하는 3억 불 규모의 누야임 유전 재개발 프로젝트의 EPC입찰이 2006년 8월에 실시될 예정이다. 상기 프로젝트의 FEED는 호주의 클러프 (Clough)와 미국의 S&B가 공동으로 진행하고 있다. 3. 사우디 아람코 발주의 사파니야 수처리 시스템 업그레이트 프로젝트 EPC 입찰에 테크닙, 테친트, 사이펨, 스남프로게티 등 4개사가 참여의향을 밝혔다. EPC입..
1. 사우디 아람코와 일본 스미토모의 합작법인이 발주하는 라빅 정유 및 석유화학 콤플렉스 프로젝트 중 동력 및 간접시설 패키지를 영국의 포스터휠러가 7억 불에 수주하였다. 포스터휠러는 상기 콤플렉스 프로젝트의 PMC로, 요즘에는 PMC가 동력 및 간접시설 패키지를 EPC로 수행하는 것이 추세다. 2. 사우디 아람코 발주의 3억 불 규모 얀부 가스플랜트 확장프로젝트 입찰에서 미국의 ABB루무스, 이집트의 엔피, 독일의 우데 등 3개사가 프로포잘을 제출하였다. 이집트의 국영엔지니어링회사인 엔피가 PQ통과되어 입찰에 참여함에 따라, 입찰에 초청받은 현대건설과 대림을 포함한 5개사가 불참하였다. 당 프로젝트의 FEED는 미국의 제이콥스가 수행하고 있다. 3. 사우디광업회사(Maaden) 에서 발주하는 일산 2천..
1. 이라크는 가솔린 수요를 맞추기 위한 신규 정유공장 프로젝트를 긴급하게 추진하고 있다. 이라크 정부에서는 일산 30만 배럴 규모의 신규 정유공장을 나시리야에 건설하기 위한 타당성조사와 기본설계 입찰서를 지난 1월말에 발급하였다. 당 프로젝트는 이라크가 아닌 곳에서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기에, 미국, 유럽 및 일본업체들이 특별히 관심을 갖고 있다. 선정된 업체는 타당성조사와 병행하여 20억 불에 달하는 자금조달계획도 검토하여야 한다. 2. 이라크 키르쿡에서 북동쪽으로 60킬로 떨어진 코야지역에 건설될 일산 7만 배럴규모 신규 정유공장 프로젝트의 EPCM 입찰에 터키, 체코 및 캐나다 업체가 참여 중이며, 최종 프로포잘의 제출마감일은 2월말이다. 3. 일산 1만 배럴 규모의 미니 정유공장이 술라이마니야..
1. 사우디 아람코가 발주하는 쿠라이스 유전개발 프로젝트의 CPF (Central Processing Facilities) 패키지에 대한 입찰이 실시되었으며, 입찰 마감일은 2006년 5월 15일이다. 20억 불에 달하는 CPF 패키지 입찰에 테크닙, 스남프로게티, 포스터휠러와 현대건설 컨소시엄, 치요다, JGC 등 5개 업체가 초청받았으며, PMC는 포스터휠러이다. 2. 이어서, 쿠라이스 유전개발 프로젝트의 또 다른 패키지인 20억 불 규모의 GOSP패키지 입찰서는 금년 2월초에 발급될 예정이다. PQ에 통과된 업체는 테크닙, 스남프로게티, 테크니카스 리유니다스, 치요다, JGC등 5개사이다. 3. 한편, 기입찰이 실시된 쿠라이스 유전개발 프로젝트의 동력 및 간접시설 패키지 입찰 마감일은 금년 1월 3..
1. 사우디유럽석유화학회사 (Ibn Zahr)는 연산 45만 톤 규모의 폴리프로필렌 프로젝트의 입찰서를 발급하였으며, 기술제안서의 제출마감일은 2월 중순이다. 8억 불에 달하는 상기 입찰에 독일의 우데와 린데, 이태리의 스남프로게티, 삼성엔지니어링 등이 참여 중이다. 폴리프로필렌의 라이센서는 미국의 다우이며, PMC는 노르웨이의 크배너이다. 2. 사우디의 얀부국영석유화학회사 (YanSab)에서는 일본의 도요엔지니어링과 대만의 CTCI 가 지난 1월 6일에 제출한 BTX 합성플랜트 프로젝트의 기술제안서를 검토 중이다. 포스터휠러가 PMC인 당 프로젝트의 예산은 4억 불규모로 상업제안서의 제출 마감일은 3월 6일까지다. 3. 사우디국제석유화학회사 (Sipchem)에서 발주하는 3.5억 불규모의 초산 및 VA..
1. 한국의 호남석유화학은 작년 12월말 카타르의 미사이드 공단지역에 26억 불을 투자하여 에탄크래커와 아로마틱스 콤플렉스를 건설하는 MOU를 카타르석유공사 (QP)와 체결하였다. 호남석유화학은 30%의 지분으로 참여하며, 정식 합작계약서는 2006년 상반기에 체결된다. 2009년에 완공될 상기 콤플렉스에는 에틸렌 (연산 100만 톤), 프로필렌 및 폴리프로필렌 (연산 90만 톤), 스타이렌 및 폴리스타이렌 (연산 60만 톤), 아로마틱스 (연산 15만 톤) 공장 등이 들어설 계획이며, 현재 미국의 플루어가 기본설계를 진행하고 있다. 2. 카타르 석유공사 (QP)와 미국의 엑슨모빌은 라스라판 지역에 연산 1,560만 톤의 LNG 플랜트 2기 (트레인 6번과 7번)를 건설하기로 합의하였다. 합작사 이름은 ..
1. 카타르 석유공사 (QP)는 덴마크의 머스크 (Maersk) 오일 앤 가스가 개발 운영자로 추진하고 있는 50억 불 규모의 알샤힌 (Al-Shaheen) 유전개발 프로젝트를 승인하였다. 카타르 사상 최대의 유전개발 프로젝트로 기록될 당 프로젝트는 원유생산량을 일 24만 배럴에서 52만 5천 배럴로 증대시키며, 2009년 말에 완공될 예정이다. 2. 지난 10월에 LOI가 발급된 2.5억 불 규모 LLDPE 프로젝트의 정식 계약이 지난 12월 18일에 발주처인 카타르 카토핀 (Qatofin)과 이태리 EPC업체인 스남프로게티 간에 체결되었다. 또한, 상기 LLDPE의 해상공사는 스위스의 아키로돈 (Archirodon)이 6천만 불에 계약하였다. 3. 카타르가스 III와 IV에서 발주하는 2개 LNG 프..
1. 사우디 아람코에서 110억 불을 들여 투자하는 쿠라이스 유전개발 프로젝트의 동력 및 간접시설 패키지 입찰서가 최근에 발급되었으며, 입찰마감일은 2006년 1월 17일이다. 7.5억 불 규모의 동력 및 간접시설 패키지에는 플루어, ABB 루무스, 테크닙, 스남프로게티, 테친트 및 포스터휠러와 현대건설 컨소시엄 등 6개사가 입찰초청을 받았다. 2. 사우디의 사하라 석유화학에서 발주하는 6.1억 불 규모의 PDH/PP 프로젝트를 이태리의 테크니몽과 대림산업 컨소시엄이 수주하였으며, 최근에 조기착공지시서를 받았다. 테크니몽은 PP공장을, 대림산업은 PDH공장을 EPC로 수행하게 되며, 대림산업 포션은 3.3억 불이다. 3. 사우디 아람코에서 발주하는 2개의 파이프라인 프로젝트를 레바논의 CAT가 1.2억 ..
1. 카타르가스 III와 IV에서 발주하는 60억 불 규모의 2개 LNG프로젝트 (트레인 No. 6 & 7)를 일본 치요다와 프랑스 테크닙의 컨소시엄이 JGC와 KBR컨소시엄의 경쟁을 물리치고 오는 12월말에 계약한다. 또한, 치요다와 테크닙의 컨소시엄은 지난 9월에 라스가스 III의 LNG 프로젝트 (트레인 No. 6 & 7)를 40억 불에 수주한 바 있다. 카타르의 LNG에 관한 한 치요다와 테크닙의 전성시대가 펼쳐지고 있다. 2. 사우디 사빅의 자회사인 얀삽에서는 지난 12월5일에 에탄크래커 프로젝트 (연산 130만 톤)를 테크닙 이태리와, 에틸렌글라이콜 프로젝트 (연산 70만 톤)는 일본의 도요와 각각 10억 불, 4억 불에 정식 계약을 체결하였다. 3. 사우디 아람코가 발주하는 총 110억 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