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세상의 모든 플랜트 프로젝트 정보

중동플랜트소식 (No.185, 2009년 10월 25일) 본문

중동플랜트소식 (2005-2014)

중동플랜트소식 (No.185, 2009년 10월 25일)

조성환 2011. 3. 4. 20:23

1. 사우디 카얀의 저밀도폴리에틸렌 프로젝트

사우디 카얀석유화학이 발주한 저밀도폴리에틸렌 (LDPE) 프로젝트 입찰에서 대림산업이 삼성엔지니어링과 대만 CTCI의 경쟁을 제치고 3.25억 불의 수주에 성공하였다. 이 프로젝트는 연산 35만 톤 규모의 저밀도폴리에틸렌 플랜트를 쥬베일에 건설하는 EPC공사로 2010 12월에 완공될 예정이다.

2.
사우디 전력회사의 쿠라야 복합화력 발전소 프로젝트


사우디 전력회사 (SEC)가 발주한 쿠라야 (Qurayyah) 복합화력 발전소 프로젝트를 아라비안 벰코와 두산중공업의 컨소시엄이 지난 10 20 18억 불에 계약하였다. 두산중공업 분은 10.4억 불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현재 벰코가 건설하고 있는 2,000 MW의 개방사이클 발전소를 복합화력으로 전환하고 총 발전용량을 3,200 MW로 확장하는 사업으로 2015년 초에 완공될 예정이다.

3.
사우디 알쥬베일비료회사의 암모니아공장 업그레이드 프로젝트


사빅의 자회사인 알쥬베일 비료회사 (Al-Bayroni)가 발주한 암모니아공장 업그레이드를 미국의 KBR EPCM방식으로 수주하였다. 이 프로젝트는 KBR의 기술로 건설된 기존 암모니아공장을 업그레이드하는 사업으로 보조 보일러와 리포머 열전달기기를 추가로 설치하게 된다
.

4.
사우디 마라픽의 얀부 산업폐수처리 플랜트 프로젝트


마라픽이 발주한 산업용 폐수처리 플랜트 프로젝트를 사우디의 세테 (Sete) 에너지가 수주하였다. IWPP II로 불리는 이 프로젝트는 하루에 48,000 입방 미터의 산업용 폐수처리 플랜트를 얀부시에 건설하는 EPC사업으로 2011년 말에 완공될 예정이다. 포스터휠러 이태리가 상세설계를 맡아 진행한다.

5.
사우디 SWCC의 라스 알주르 발전 및 담수 프로젝트


국영 발전담수회사인 SWCC가 지난 10 19일에 개최한 로드쇼에서 라스 알주르 발전 및 담수 프로젝트의 구체적인 입찰 일정이 나왔다. 오는 11 1 PQ결과 발표에 이어 12 5일에는 EPC 입찰서를 발전과 담수로 나누어 각각 발급하며, 입찰 마감일은 2010 3 20 정하였다. 이 프로젝트는 2,400 MW의 가스복합화력 발전소와 2.26억 갤론의 담수공장을 라스 알주르에 건설하는 45억 불 규모의 초대형 사업이다.

6.
사우디 석유광물자원부의 지잔 정유공장 프로젝트


석유광물자원부가 추진하는 지잔 (Jizan) 정유공장 개발사업의 입찰 마감일이 9 2일에서 다시 11 7일로 연장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일산 25만에서 40만 배럴 규모의 신규 정유공장을 예멘 국경 근처에 위치한 지잔에 건설하는 BOO사업으로 총 투자비는 70억불에서 120억 불 규모가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PQ에 통과한 8개의 사우디 현지업체와 43개의 외국 석유회사가 입찰에 초청받았다.

7.
알제리 소나트랙의 타이렛 신규 정유공장 프로젝트


알제리 국영석유회사인 소나트랙이 발주하는 일산 45만 배럴 규모의 티아렛 (Tiaret) 신규 정유공장 프로젝트에 대한 FEED입찰에서 테크닙, 사이노펙, CB&I루무스, 사이펨과 치요다의 컨소시엄 등 4개사가 지난 10 19일 기술 제안서를 제출하였다. 이 프로젝트는 신규 정유공장을 알제리의 서쪽에 위치한 티아렛에 건설하는 60억 불 규모의 초대형사업으로 소나트랙은 입찰자들과의 기술관련 협의를 통해 상업 제안서의 제출 일정을 결정한다.

8.
알제리 소나트랙의 알제 정유공장 보수 프로젝트


소나트랙이 발주하는 알제 정유공장 보수 프로젝트의 EPC 입찰이 지난 10 19일에 마감된 가운데, 현대건설, 삼성엔지니어링, GS건설, 페트로팩, 사이펨, 테크니카스 리유니다스, 테크닙, 사이노펙 등 8개사가 프로포잘을 제출하였다. 이 프로젝트는 기존 일산 6만 배럴짜리 정유공장의 생산능력을 35% 증대시키는 보수사업으로 예산은 3억 불이다.

9. UAE
타크리어의 루와이스 정유공장 확장프로젝트


지난 10 21일에 마감한 20억 불 규모의 패키지 1번 증류시설 입찰에서 테크니몽, 테크니카스 리유니다스, 도요엔지니어링과 현대건설의 컨소시엄, SK건설 등 4개사가 프로포잘을 제출하였다. 18억 불 규모의 패키지 2 RFCC에서는 페트로팩이 불참하면서 테크닙, 사이펨, JGC, GS건설의 경쟁으로 좁혀졌다. 한편, 현지로부터의 비공식적인 정보에 의하면 패키지 1번 입찰에서 SK건설이 21억 불의 최저가를 제출하였다고 한다.

10. UAE
아드녹과 린데의 질소 파이프라인 프로젝트


아드녹과 린데의 합작회사인 엘릭시어 (Elixier)는 질소 파이프라인 프로젝트의 EPC 입찰에 참여하고 있는 업체들에게 기술 제안서는 11 5, 상업 제안서는 11 19일까지 제출하도록 요청하였다. 이 프로젝트는 45킬로미터의 48인치 파이프라인을 아부다비에 건설하는 1.5억 불 규모의 사업으로 레바논의 CAT와 인도의 펀지로이드가 입찰에 참여하고 있다.

11. UAE
아드마옵코의 자쿰 중앙처리시설 가동복귀 프로젝트


아부다비해상운영회사 (Adma-Opco)가 발주한 3억 불 규모의 자쿰 중앙처리시설 가동복귀 프로젝트 입찰에서 최저가를 제출한 UAE NPCC가 테크닙, 페트로팩, L&T 등의 경쟁을 물리치고 수주에 성공하였다. 정식 계약은 12월에 체결된다.

12. UAE
아드마옵코의 플랫폼 및 해수주입시설 프로젝트


아드마옵코가 발주하는 1억 불 규모의 해상 플랫폼 및 해수주입시설 프로젝트에 대한 상업 제안서의 제출 마감일이 11 16일로 예정된 가운데, 테크닙, 페트로팩, L&T, NPCC 4개사가 입찰을 준비하고 있다.

13. UAE
자드코의 사타 유전개발 프로젝트


자쿰개발회사 (Zadco)가 발주하는 사타 (Satah) 해상 유전 개발 프로젝트의 EPC 입찰서가 2010 1/4분기에 발급된다. 이 프로젝트는 하루에 25,000 배럴의 원유를 생산할 수 있는 해상 플랜트를 건설하는 5억 불 규모의 사업으로 호주와 말레이시아의 조인트벤처인 란힐 월리파슨스가 금년 말에 FEED를 완료할 예정이다.

14.
쿠웨이트 KOC의 집하장 압축시설 프로젝트


KOC
가 발주한 3개 집하장의 가스압축시설 교체 프로젝트 입찰에서 스페인의 테크니카스 리유니다스가 최저가인 1.06억 불을 제출하여 5개월 간 협상을 벌였으나 수주에는 실패하였다. 대신에 2위를 한 이태리의 사이펨이 운좋게 1.2억 불에 수주하였다. 테크니카스 리유니다스는 텔레미트리 프로젝트의 수행 상 문제로 KOC의 블랙리스트에 올라가 있어 지난 9월에 마감한 BS-132번 입찰에는 프로포잘 자체가 개봉되지 않았다. 사우디와 아부다비에서 선전하고 있는 스페인의 테크니카스 리유니다스가 쿠웨이트에서는 고전하고 있다.

15.
쿠웨이트 KOTC LPG 충진시설 프로젝트


쿠웨이트석유운송회사 (KOTC)가 발주하는 LPG충진시설 프로젝트의 EPC입찰서가 10 25일 발급되었으며 사이펨, 앙트레포즈, 켄츠, SNC 라발린, L&T, 한화건설 등 6개사가 입찰에 초청 받았다. 입찰 마감일은 2010 1 25이다. 이 프로젝트는 쿠웨이트 북쪽 움 알아이쉬 (Umm Alaish) 지역에 6기의 LPG 탱크와 시간 당 4,800개의 실린더를 충진할 수 있는 시설을 건설하는 1.5억 불 규모의 사업으로, 영국의 마우셀이 FEED를 완료하였다.

16.
카타르 공공사업청의 도하 남부 폐수처리플랜트 프로젝트


카타르 공공사업청 (Ashghal)이 발주하는 도하 남부 폐수처리플랜트 프로젝트의 EPC 입찰이 지난 7월에 마감된 가운데, 프랑스의 베올리아, 인도 L&T와 미국 ITT의 컨소시엄, 싱가포르 케펠 시거스, 호주의 VA 테크, 대우건설 등 5개사가 참여하였다. 현재 발주처에서는 기술 제안서를 검토하고 있으며 2010년 초에 수주 업체를 선정한다.

17.
바레인 공공사업부의 무하락 폐수처리플랜트 프로젝트


바레인 공공사업부가 추진하고 있는 무하락 (Muharraq) 폐수처리플랜트 프로젝트의 입찰 마감일이 지반조사 자료가 나오지 않았다는 이유로 10 28일에서 2010 1 20 연장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하루 10만 입방 미터의 폐수처리플랜트를 BOO방식으로 건설하는 사업으로 10개의 컨소시엄이 입찰을 준비하고 있다. 입찰 업체는
프랑스 베올리아와 싱가포르 케펠 시거스, 프랑스 데그레몽과 일본 스미토모, 스페인 아시오나 아구아와 쿠웨이트 파이낸스 하우스, UAE 메티토와 독일 베를린와써의 조인트 벤처, 영국 바이워터, 스페인 아쿠아리아와 미국 훠원즈, 스페인 FCC, 사우디 네스마와 바레인 제로 웨이스트, 사우디 오거와 한국 수자원공사 및 삼성물산, 영국 유나이트드 유틸리티스와 삼성엔지니어링 및 바레인 인스트라타, 말레이시아 YTL 파워와 영국 웨섹스 및 쿠웨이트 카라피내쇼날 등 10개 팀이다.

18.
예멘 국영전력청의 마리브 2, 3단계 발전소 프로젝트


예멘의 국영전력청 (PEC)이 발주하는 마리브 2단계와 3단계 발전소 프로젝트의 입찰에 인도의 국영바라트중전기회사 (BHEL)와 러시아의 거대 전력수출업체인 테크노프롬엑스포트(TPE: Technopromexport) 2개사가 프로포잘을 제출하였다. 380-480 MW규모의 마리브 2단계 발전소 입찰에서는 지멘스의 가스터빈을 사용한 BHEL 4.78억 불의 최저가를 제출하였으며, 알스톰 터빈을 사용한 러시아의 TPE 4.8억 불로 응찰하였다. 그러나, 300 MW 3단계 발전소 입찰에서는 TPE 3.16억 불을, BHEL 3.69억 불을 각각 제출하였다. 입찰자들끼리 서로 논의한 듯한 냄새가 풍긴다.


(
최초입력: 2009 10 25)

728x90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