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세상의 모든 플랜트 프로젝트 정보

글로벌 플랜트소식 (No. 181, 2018년 04월 19일) 본문

글로벌플랜트소식 (2015-2019)

글로벌 플랜트소식 (No. 181, 2018년 04월 19일)

조성환 2018. 4. 19. 18:58

중동

 

1.  사우디 마덴의 라스알카이르 암모니아 플랜트 프로젝트



 

사우디 광업공사인 마덴(Maaden)이 발주하는 라스알카이르(Ras Al-Khair) 암모니아 플랜트 프로젝트의 EPC입찰이 마감된 기운데스페인의 인텍사(Intecsa)가 대림산업현대건설플루어 등의 경쟁 속에 최저가를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이 프로젝트는 일산 3,300톤의 암모니아 플랜트를 라스알카이르에 건설하는 10억 달러 규모의 사업이다.

 

2.  사우디 아람코의 와싯 가스플랜트 내 콘덴세이트 및 사워워터 처리시설 프로젝트



 

아람코가 발주하는 와싯 가스플랜트 내 콘덴세이트 및 사워워터 처리시설 프로젝트의 건설공사를 캐나다의 SNC라발린이 수주했다이 프로젝트는 아라비야(Arabiah)산 콘덴세이트와 사워워터(Sour Water) 처리시설을 건설하는 1억 달러 규모의 사업이다. SNC라발린의 업무범위는 프로세스 기기배괸전기/계장토목 및 철구조물을 설치하는 사업으로 이미 건설공사는 시작되었으며 2019년 말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3.  사우디 재생에너지개발청의 두마트 알잔달 풍력발전단지 프로젝트



 

사우디 에너지산업광물부 산하의 재생에너지개발청(REPDO: Renewable Energy Project Development Office)이 민자로 발주하는 두마트 알잔달 풍력발전단지 프로젝트의 입찰이 지난 4월 17일에 마감되었다입찰에 초청받은 25개 업체 중 아크와파워, EDF, EGP, 엔지의 4개사만이 프로포잘을 제출했다이 프로젝트는 400MW의 풍력발전단지를 알조우프의 두마트 알잔달(Dumat Al Jandal)에 민자로 건설하는 5억 달러 규모의 사업으로 독일의 피츠너(Fichtner)가 기술자문을 맡고 있다.

 

4.  UAE 아드녹오프쇼어의 부 하시르 해상유전개발 확장 프로젝트



 

아드녹오프쇼어(전 아드마옵코)가 발주하는 부 하시르(Bu Haseer) 해상유전개발 확장 프로젝트의 EPC입찰에서 페트로팩(Petrofac)이 최저가를 제출하면서 수주에 유리한 위치에 있는 것으로 지난 4월 12일 알려졌다이 프로젝트는 부 하시르 해상 유전의 원유생산량을 일산 8,000배럴에서 두 배인 16,000배럴로 늘리는 약 3억 달러 규모의 사업이다.

 

5.  UAE 두바이수전력청/아크와파워의 두바이 민자 태양열발전단지 프로젝트



 

사우디 아크와파워(Acwa Power)가 개발업체로 선정된 두바이 민자 태양열 발전단지 프로젝트의 EPC를 중국의 상하이전력(Shanghai Electric)l이 지난 4월 16일 계약했다이 프로젝트는 태양열을 모아 용매를 끓이고이 때 나온 증기로 터빈을 돌려 전기를 생산하는 700MW급 태양열발전(CSP)단지를 건설하는 38억 달러 규모의 사업으로 2020년 말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아프리카

 

6.  모리타니아/세네갈 BP의 또르뚜 부유식 LNG프로젝트 중 FPSO패키지



 

BP가 발주하는 또르뚜(Tortue) 부유식 LNG프로젝트 중 20억 달러 규모의 FPSO패키지에 대한 FEED+EPC입찰에서 테크닙FMC와 중국 COSCO의 컨소시엄이 현대중공업/KBR 컨소시엄, ▷ MODE/주롱조선 컨소시엄, ▷삼성중공업/우드그룹 컨소시엄, ▷SBM오프쇼어/중국 SWS 컨소시엄 등을 제치고 지난 4월 16일 수주했다이 프로젝트는 모리타니아와 세네갈 사이에 위치한 해상에 FPSO를 설치하여 생산된 가스를 부유식 LNG터미널에 파이프라인으로 이송하는 58억 달러 규모의 사업이다.

 

7.  앙골라 소낭골의 로비토 및 카빈다 정유공장 프로젝트



 

앙골라 국영석유회사인 소낭골(Sonangol)은 로비토(Lobito)와 카빈다(Cabinda) 정유공장 프로젝트에 대한 총 30개의 파트너쉽 제안서를 접수하여이중 7개를 선정했다고 지난 3월 29일 밝혔다선정된 7개사는 중국항만엔지니어링, CCESCC, CPP, CITIC, 포르투갈의 모타엔길(Mota-Engil), 일본의 마루베니그리고 한국의 현대엔지니어링이다이 프로젝트는 일산 20만 배럴의 정유공장을 로비토 해안도시에일산 16,000배럴의 정유공장을 카빈다 지역에 각각 건설하는 65억 달러 규모의 사업이다소낭골에 의하면 로비토 정유공장의 건설기간은 4-5카빈다는 2년으로 예상하고 있다.

 

중앙아시아

 

8.  터키 소카르터키의 알리아가 아로마틱스 및 PTA플랜트 프로젝트



 

아제르바이잔 석유공사인 소카르(SOCAR)의 자회사인 소카르터키(Socar Turkey)가 발주하는 알리아가(Aliaga) 아로마틱스 및 PTA플랜트 프로젝트 중 아로마틱스 프로세스의 라이센서로 프랑스의 악센스(Axens)가 지난 3월 16일 선정됐다지난 2월에는 PTA플랜트의 라이센서로 BP가 선정된 바 있다이 프로젝트는 연산 116만 톤의 아로마틱스 플랜트와 연산 90만 톤의 PTA플랜트를 터키 서부연안 알리아가(Aliaga) 산업단지에 건설하는 20억 달러 규모의 사업으로 최종투자결정(FID) 2019년으로 예정되어 있다.

 

9.  터키 메트캡에너지투자회사와 퓨전 다이나믹스의 메탄올/올레핀 플랜트 및 가스발전소 프로젝트



 

터키 메트캡에너지투자회사(Metcap Energy Investments)와 카타르의 퓨전 다이나믹스(Fusion Dynamics)는 공동으로 52억 달러를 투자하여 메탄올/올레핀 플랜트와 가스발전소를 터키에 건설하기로 하는 기본계약(Protocol)을 지난 4월 8일에 체결했다이 프로젝트는 연산 260만톤의 메탄올 플랜트와 1백만 톤의 올레핀 플랜트를 트라키아 분지(Trakya Basin)에 건설하는 40억 달러 규모의 사업과 550MW급 가스복합화력발전소를 키르클라렐리(Kırklareli)에 건설하는 12억 달러의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2020년에 단계적으로 시운전에 들어가 2023년에는 모든 투자를 완료할 계획이다.

 

아시아

 

10. 인도 라트나기리 정유석유화학회사의 마하라쉬트라 신규 정유공장 프로젝트



 

사우디 아람코는 인도 국영정유회사의 컨소시엄인 라트나기리 정유석유화학회사(Ratnagiri Refinery and Petrochemicals Ltd)와 마하라쉬트라(Maharashtra) 신규 정유공장 프로젝트를 50:50 지분 참여로 공동개발하는 양해각서(MOU)를 지난 4월 15일에 체결했다이 프로젝트는 단일 규모로는 세계에서 가장 큰 일산 120만 배럴의 신규 정유공장과 에틸렌아로마틱스폴리머가 총 망라된 연산 18백만 톤의 석유화학콤플렉스를 마하라쉬트라 주 남서부에 위치한 라트나기리에 건설하는 총 440억 달러 규모의 초대형 사업이다라트나기리 정유석유화학회사는 인도 IOC(Indian Oil), HPCL(Hindustan Petroleum)  BPCL(Bharat Petroleum) 3개사로 구성된 컨소시엄이다.


11. 태국 방착페트롤륨의 방콕 정유공장 CCR플랜트 프로젝트



 

태국의 방착페트롤륨(Bangchak Petroleum)이 발주한 방콕 정유공장 CCR플랜트 프로젝트의 EPC를 현대엔지니어링이 지난 4월 19일 2.7억 달러에 계약했다이 프로젝트는 고옥탄가저유황의 고급 가솔린생산을 위해 악센스(Axens)의 기술이 적용된 일산 12,000배럴의 CCR(Continuous Catalytic Reforming) 플랜트를 신설하고 노후화된 수첨분해시설(Hydrocracking Unit)을 교체하는 사업이다

 

12. 필리핀 핀마의 세부 LNG터미널 및 발전소 프로젝트



 

필리핀의 에너지기업인 PPGI(Phinma Petroleum & Geo Thermal Inc.)는 부유식 LNG터미널 및 가스발전소를 세부에 건설하기 위해 인허가 작업기본설계 및 타당성조사를 진행하고 있으며이름을 밝히지 않은 외국회사와 공동개발을 위한 계약을 체결했다고 지난 4월 13일 밝혔다이 프로젝트는 120MW급 가스발전소와 이에 맞는 FSRU를 세부(Cebu) 주의 아가오(Agao)에 건설하는 3억 달러 규모의 사업이다타당성조사는 2018년 3분에 완료될 예정이다.

 

13. 인도네시아 페르타미나와 CPC의 투반 납사크래킹 플랜트 이전 프로젝트



 

대만 국영석유회사(CPC)는 지난 2015년 말에 가동이 중단된 5 번째의 가오슝 납사크래커(Kaohsiung Naphtha Cracker)를 인도네시아로 이전 설치할 계획이며 이를 위해 인도네시아 국영석유회사인 페르타미나(Pertamina)와 합작법인 설립을 검토하고 있음이 지난 4월 8일 알려졌다연산 50만 톤의 No. 5 납사크래커는 1989년에 건설이 시작되어 1993년에 완공되었으며인도네시아로 이전하여 설치될 장소는 수라바야에서 서쪽으로 100킬로미터 떨어진 투반(Tuban)이 유력시 되고 있다.

 

14. 베트남 EDF의 손미 LNG복합화력발전소 1단계 프로젝트



 

프랑스 전력공사인 EDF가 주도하는 컨소시엄은 베트남 정부의 승인을 받은 2,000MW급 LNG복합화력발전소 건설을 시작할 예정이이라고 지난 3월 29일 밝혔다이 프로젝트는 2,000MW급 LNG복합화력발전소를 손미(Son My) 지역에 건설하는 20억 달러 규모의 사업으로 2023년 혹은 2024년 시운전을 목표로 하고 있다. LNG는 베트남가스공사가 추진하고 있는 LNG터미널로부터 공급받을 계획이다컨소시엄에는 EDF가 37.5%의 최대 지분을 보유하고 있으며그외 베트남의 퍼시픽 25%, 일본의 소지쓰(Sojitz) 18.75%,규슈(Kyushu) 18.75%의 지분으로 나누어져 있다.

 

15. 일본 나카소IGCC파워의 히로노 석탄가스화 복합발전소 프로젝트



 

나카소(Nakaso) IGCC파워가 발주하는 히로노(Hirono) 석탄가스화 복합발전소 프로젝트의 EPC를 MHPS가 지난 4월 16일 수주했다이에 따라 MHPS는 이와키 석탄가스화 복합발전소 프로젝트에 이어 두 번째의 IGCC프로젝트를 걸머쥐게 되었다이 프로젝트는 540MW급 석탄가스화 복합발전소(IGCC: integrated Coal Gasification Combined-Cycle)를 기존의 노후화된 히로노 석탄화력발전소 단지 내에 건설하는 20억 달러 규모의 사업으로 2021 9월 상업운전을 목표로 하고 있다.

 

미주

 

16.  미국 머리디언 에너지그룹의 데이비스 정유공장 프로젝트



 

미국 머리디언 에너지그룹(Meridian Energy Group)이 발주하는 데이비스(Davis) 정유공장 프로젝트의 FEED를 스페인 베피카(Vepica)의 미국 현지법인이 4월 16일 LOI를 접수하면서 수주를 확정지었다아울러 베피카는 FEED수행 중에 EPC와 관련된 협상을 끝내고 계약을 체결할 계획이다이 프로젝트는 일산 55,000배럴의 신규 정유공장을 노스다코타(North Dakota)의 벨필드(Belfield) 지역에 건설하는 8.5억 달러 규모의 사업이다.

 

17. 미국 다이아몬드의 노스베르겐 가스복합화력발전소 프로젝트



 

일본 미쓰비시의 미국 내 발전개발 자회사인 다이아몬드 제네레이팅(Diamond Generating Corp.)은 노스베르겐(North Bergen)에 가스발전소를 건설하고 해저 케이블을 통해 맨하탄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안서를 지난 4월 18일 뉴저지 규제위원회에 제출했다이 프로젝트는 1,200MW급 가스복합화력발전소를 뉴저지의 노스베르겐에 건설하고 10킬로미터의 지하 및 해저케이블을 맨하탄 변전소까지 연결하는 15억 달러 규모의 사업이다.

 

18. 칠레 국영석유회사의 비오비오 정유공장 업그레이드 프로젝트



 

칠레 국영석유회사인 ENAP가 발주하는 비오비오(Bio Bio) 정유공장 업그레이드 프로젝트의 라이센서로 미국의 KBR이 지난 4 12일에 선정됐다이 프로젝트는 일산 116,000배럴짜리 비오비오 장유공장의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일산 1,600입방미터의 산성수처리시설(SWS), 일산 140톤의 유황회수시설(SRU), 저장시설 등을 추가로 건설하는2.45억 달러 규모의 사업으로 공사기간은 26개월이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