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세상의 모든 플랜트 프로젝트 정보
중동플랜트소식 (No.479, 2014년 03월 09일) 본문
1. 이라크 전력부의 쿠르나/루마일라/바스마야/유시피야 민자 발전소 프로젝트
이라크 전력부는 내각이 지난 2월에 승인한 쿠르나, 루마일라, 바스마야 및 유시피야의 4개 민자 발전소 프로젝트에 대해 개발업체들과 협상을 벌이고 있다고 지난 3월 2일 밝혔다. ① 쿠르나(Qurna) 민자 발전소는 바스라 지역에 1단계로 1,000MW의 개방사이클 발전소를 건설하고 이어 2단계로 1,500MW의 복합사이클 발전소로 전환하는 사업으로 아르빌의 KAR가 개발업체로 나서고 있다. ② 루마일라(Rumaila) 민자 발전소 역시 바스라 지역에 1단계로 1,000MW의 개방사이클 발전소를 건설하고 2단계로 1,500MW의 복합사이클로 전환하는 사업이며 현지의 샤마라(Shamara) 그룹이 전력부와 협상을 벌이고 있다. ③ 바스마야(Basmaya) 민자 발전소 또한 1단계로 1,000MW의 개방사이클 발전소를, 2단계로 1,500MW의 복합사이클 발전소를 바그다드 지역에 건설하는 사업으로 요르단의 매쓰 글로벌(Mass Global)이 개발업체로 전력부와 협상을 벌이고 있다. ④ 유시피야(Yousifiya) 민자 발전소는 1,400MW 스팀터빈 발전소를 건설하는 사업으로 인도의 릴라이언스(Reliance)가 디벨러퍼로 나서고 있다.
2. 이라크 루크오일의 웨스트 쿠르나 2단계 유전개발사업 중 물주입 및 원유집하시설 패키지
러시아의 루크오일이 이라크에서 발주하는 웨스트 쿠르나(West Qurna) 2단계 유전개발사업 중 물주입 및 원유집하시설 패키지의 기술 제안서 제출일은 4월 10일, 상업 제안서는 6월 5일로 정해졌다. 이 패키지는 중앙처리시설로 원유를 보내기 위한 물주입 및 원유집하시설과 함께13기의 웰패드(Well Pad), 132kV 가공 송전 선로, 파이프라인 등을 건설하는 10억 불 규모의 사업으로 월리파슨스가 PMC를 맡고 있다. EPC 계약은 오는 10월 이전에 체결될 예정이다.
3. 이라크 루크오일의 웨스트 쿠르나 2단계 유전개발 프로젝트 중 중앙처리시설 2단계 패키지
루크오일이 발주하는 웨스트 쿠르나 2단계 유전개발 프로젝트 중 중앙처리시설 2단계 패키지의 EPC입찰서가 발급되었으며 입찰 마감일은 5월 15일이다. 이 패키지는 웨스트 쿠르나 2 지역에서 두 번째의 중앙처리시설(CPF)를 EPC로 건설하는 사업으로, 첫 번째는 CPF는 삼성엔지니어링이 수행하고 있다.
4. 이라크 루크오일의 웨스트 쿠르나 2단계 유전개발 프로젝트 중 취수시설 패키지
루크오일이 발주하는 웨스트 쿠르나 2단계 유전개발 프로젝트 중 취수시설 패키지의 EPC입찰서가 발급되었으며 입찰 마감일은 4월 16일이다. 이 패키지는 웨스트 쿠르나 2 지역에서 강물을 취수하고 처리하는 시설을 EPC로 건설하는 사업이다.
5. 이라크 루크오일의 웨스트 쿠르나 2단계 프로젝트 중 야마마 유전개발 패키지
러시아의 루크오일이 이라크에서 추진하는 웨스트 쿠르나 2단계 프로젝트 중 야마마(Yamama) 유전개발 패키지의 FEED업무를 호주의 월리파슨스(WorleyParsons)가 지난 3월 9일 3천만 불에 수주하였다. 이 패키지는 야마마 유전지대에서 하루 110만 배럴의 원유생산 시설을 건설하는 사업으로 물주입시설, 원유취합시설, 중앙처리시설, 파이프라이, 발전소, 유황회수시설 등이 포함되어 있다.
6. 이라크 바스라가스회사의 해상 LNG생산시설과 수출 터미널 프로젝트
바스라가스회사(BGC)가 발주하는 해상 LNG생산시설과 수출 터미널 프로젝트의 2개 FEED업무를 이태리의 사이펨(Saipem)이 지난 3월 4일 수주하였다. 이라크 남부 유전지대에서 나오는 플레어가스를 채집하기 위하여 설립된 바스라가스회사(BGC)는 이라크 국영 남부석유회사, 쉘 및 미쯔비시로 구성된 법인으로 일산 20억 입방피트의 가스처리플랜트를 건설할 예정이며, 장기 계획으로 LNG생산시설과 수출 터미널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7. 이라크 카이완그룹의 바지안 정유공장 3단계 확장 프로젝트
이라크의 카이완그룹이 발주하는 바지안(Bazian) 정유공장 3단계 확장 프로젝트의 EPC입찰이 오는 3월 중에 실시될 예정이다. 이 프로젝트는 일산34,000배럴 규모의 기존 바지안 정유공장을 84,000배럴로 확장하는 사업으로 테크닙이 FEED를 완료하였으며 2017년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EPC계약은 9월 말에 체결될 예정이다. 2009년에 건설된 일산 2만 배럴의 바지안 정유공장은 지난 2010과 212년에 실시된 1, 2단계 확장사업을 통해 34,000배럴로 늘린 바 있다.
8. 사우디 사빅과 미쯔비시 레이온의 MMA/PMMA 플랜트 프로젝트
사빅과 미쯔비시 레이온이 공동으로 발주하는 MMA/PMMA플랜트 프로젝트의 EPC입찰이 지난 2월에 마감되었으며 ▷대림산업, ▷CTCI, ▷테크닙, ▷테크니카스 리유니다스의 4개사가 참여하였다. 이 프로젝트는 연산 25만 톤의 MMA 플랜트와 4만 톤의 PMMA플랜트를 쥬베일에 건설하는 5억 불 규모의 사업으로 테크니카스 리유니다스가 FEED를 완료했다.
9. 사우디 하디드의 쥬베일 철강 플랜트 프로젝트
사빅(Sabic)의 철강 자회사인 하디드(Hadeed)가 발주하는 쥬베일 철강 플랜트 프로젝트의 타당성 조사가 완료되었으며 건설을 위한 PQ가 오는 6월에 실시될 예정이다. 이 프로젝트는 쥬베일에 연산 150만 톤 규모의 철강 플랜트를 쥬베일에 건설하는 22억 불 규모의 초대형 사업으로 기술 제공과 EPC결합된 입찰서는 2014년 중순에 발급되며 계약은 2014년 말 혹은 2015년 초에 체결될 예정이다.
10. 사우디 하디드의 라빅 철강 플랜트 프로젝트
사빅(Sabic)의 철강 자회사인 하디드(Hadeed)가 발주하는 라빅 철강 플랜트 프로젝트의 타당성 조사가 완료되었으며 건설을 위한 PQ가 오는 2/4분기 중에 실시된다. PQ가 오는 6월에 실시될 예정이다. 이 프로젝트는 15만 톤의 냉연강판과 자동차용 강판, 35만 톤의 용융아연도금강판, 35만 톤의 주석강판 등 총 100만 톤의 신규 강판공장을 라빅에 건설하는 20억 불 규모의 사업으로 2018년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11. 사우디 아람코의 라스 아부알리 및 쿠르사니야 해저 케이블 프로젝트
아람코가 발주한 라스 아부알리 및 쿠르사니야 해저 케이블 프로젝트를 미국의 맥더모트(McDermott)가 지난 3월 6일 수주하였다. 이 프로젝트는 아람코에서 운영하고 있는 라스 아부알리(Ras Abu Ali) 원유생산시설과 쿠르사니야(Khursaniyah) 가스오일 분리시설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20킬로미터의 250kV 해저 케이블을 설치하는 공사로 2015년 9월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12. 쿠웨이트 KNPC의 미나 압둘라 정유공장 플레어가스 회수시설 프로젝트
KNPC에서 발주하는 미나 압둘라 정유공장 플레어가스 회수시설 프로젝트의 EPC입찰이 지난 3월 2일에 마감되었으며 현지의 걸프스픽(Gulf Spic)이 7천만 불(KD19.8M)의 최저가를 제출하였다. 이 프로젝트는 미나 압둘라 정유공장 내 신규 플레어가스 회수시설을 EPC로 건설하는 사업으로, 이번 입찰에서 대만의 CTCI는 7천4백만 불(KD20.7M)로 2위를, 일본의 도요 엔지니어링은 8천2백만 불(KD22.9M)로 3위를, SK건설은 8천5백만 불(KD23.8M)로 4위를 하였다.
13. 쿠웨이트 KNPC의 알주르 LNG수입 터미널 프로젝트
포스터휠러는 KNPC발주의 알주르 LNG수입 터미널 프로젝트에 대한 기본설계(FEED) 업무를 지난 11월 14일에 수주한 가운데, 오는 10월에 완료할 예정이다. 이 프로젝트는 부유식이 아닌 영구적인 하루 15억 입방피트의 재기화시설과 72만 입방미터의 가스저장탱크가 포함된 LNG수입터미널을 알주르에 건설하는 7억 불 규모의 사업으로 2014년 말에 EPC입찰서가 발급될 예정이며 2020년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14. 쿠웨이트 KOC의 로우어 파스 중유 생산처리시설 1단계 프로젝트
KOC가 발주하는 로우어 파스(Lower Fars) 중유 생산처리시설 1단계 프로젝트의 EPC 입찰 마감일이 3월 30일에서 5월 11일로 또 다시 연기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1,200평방킬로미터에 펼쳐진 쿠웨이트 북부유전지대에서 2017년까지 하루 6만 배럴의 중유를 생산하기 위한 스팀주입시설, 원유 생산시설(CPF), 지원시설(PSC), 저장탱크, 파이프라인 등을 건설하는 45억 불 규모의 1단계 사업으로 ▷대림산업과 SK건설의 컨소시엄, ▷사이펨과 현대중공업의 컨소시엄, ▷현대건설, GS건설 및 도쌀의 컨소시엄, ▷페트로팩과 삼성엔지니어링의 컨소시엄 등이 입찰을 준비하고 있다.
15. UAE 페트릭소의 푸자이라 바이오연료 정유공장 프로젝트
두바이의 오일 앤 가스 투자회사인 페트릭소(Petrixo)가 추진하는 푸자이라 바이오연료 정유공장 프로젝트의 타당성 조사, 기본설계 및 라이센서 선정 등의 작업이 완료된 가운데, 조만간 EPC입찰서가 발급될 예정이다. 이 프로젝트는 바이오 디젤, 제트연료, 납사 등을 포함한 연산 백만 톤 규모의 바이오연료 정유공장을 푸자이라 내 46만 평방미터의 부지에 건설하는 8억 불 규모의 사업이다.
16. UAE 아드코의 밥 원유생산시설 프로젝트
아드코(ADCO)가 발주하는 밥 원유생산시설 프로젝트의 FEED를 페트로팩(Petrofac)이 지난 2월 27일 2천1백만 불에 수주하였다. 이 프로젝트는 타마마(Thamama) 유전지대에 위치한 밥 원유생산시설(Bab Integrated Facilities)를 건설하는 사업이다.
17. 오만 BP의 카잔 치밀가스전개발 프로젝트 중 생산시설 및 인프라 패키지
BP가 발주하는 카잔 치밀가스전개발 프로젝트 중 일부 생산시설과 인프라 패키지에 대한 EPCM업무를 미국의 제이콥스(Jacobs)가 지난 3월 5일 수주하였다. 이 패키지는 61블럭 내 가스취합시설, 물 파이프라인, 웰헤드 생산시설, 수출용 파이프라인 등을 건설하는 20억 불 규모의 사업으로, 제이콥스의 미국, 영국, 인도 및 중동의 프로젝트 엔지니어링 오피스에서 EPCM업무를 수행할 예정이다.
18. 오만 마지스의 소하르 해수 펌프장 2단계 프로젝트
오만의 국영 수자원공사인 마지스(Majis)가 발주한 해수 펌프장 2단계 프로젝트(Sea Water Intake Pumping Station II)를 테크니카스 리유니다스와 비식스의 컨소시엄이 지난 3월 5일 7천만 불에 계약하였다. 이 프로젝트는 시간당 32만 입방미터의 산업용 냉각수를 소하르 산업단지에 공급하는 EPC사업으로 공사 기간은 27개월이다.
19. 오만 하야워터의 알아메랏 폐수 네트워크 프로젝트
오만의 국영하수처리회사인 하야워터(Haya Water)가 발주하는 알아메랏 폐수 네트워크 프로젝트를 현지의 알와타니아 유나이티드(Al Watanyiah United)와 이집트 아랍콘트랙터스(Arab Contractors)의 컨소시엄이 지난 3월 3일 7천3백만 불에 수주하였다. 이 프로젝트는 무스카트의 알아메랏(Al-Amerat)지역에 폐수 네트워크를 건설하는 사업으로 공사 기간은 2년이다.
20. 오만 OPWP의 쿠라야트 민자 담수공장 프로젝트
오만의 수전력회사(OPWP)가 발주하는 쿠라야트 민자 담수공장 프로젝트의 입찰서가 오는 3월 말에 발급될 예정이다. 이 프로젝트는 일산 207,000입방미터의 담수공장을 무스카트 남부의 쿠라아트(Qurayyat)지역에 민자로 건설하는 4억 불 규모의 사업으로 지난 10월에 마감된 PQ에서는 전체 12개 업체 중 악시오나, 아벤고아, 발로리자 아구아, 코브라, GS 이니마 등 스페인의 5개 업체가 대거 참여하였다.
(입력: 2014년 3월 9일)(수정: 2014년 3월 10일)
'중동플랜트소식 (2005-2014)'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동플랜트소식 (No.481, 2014년 03월 21일) (0) | 2014.03.21 |
---|---|
중동플랜트소식 (No.480, 2014년 03월 14일) (0) | 2014.03.14 |
중동플랜트소식 (No.478, 2014년 02월 21일) (0) | 2014.02.21 |
중동플랜트소식 (No.477, 2014년 02월 20일) (0) | 2014.02.20 |
중동플랜트소식 (No.476, 2014년 02월 12일)* (0) | 2014.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