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세상의 모든 플랜트 프로젝트 정보
중동플랜트소식 (No.298, 2011년 06월 16일) 본문
1. 사우디 페트로라빅의 2단계 라빅 석유화학 콤플렉스 프로젝트
아람코와 스미토모화학의 합작법인인 페트로라빅이 발주하는 2단계 라빅 석유화학 콤플렉스 프로젝트의 EPC입찰서가 7개 패키지로 나누어 발급되었으며, 입찰 마감일은 10월 1일이다. 50억 불에 달하는 7개 패키지는 ① 아로마틱스, ② 카프로락탐, ③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④ 저밀로폴리에틸렌, ⑤ 메타크릴산 메틸, ⑥ 나일론, ⑦ 페놀 플랜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별도로 에탄 크래커 확장 사업도 계획되어 있다. 이번 입찰에는 대림산업, 삼성엔지니어링, 현대건설, GS건설, SK건설, 테크닙, 테크니몽, 테크니카스 리유니다스, JGC, 치요다 등을 포함한 전세계의 EPC업체 68개가 입찰에 초청을 받았으며, 특히 일본 및 유럽업체들이 한국을 꺾기 위하여 치열한 공세를 벌일 것으로 예상된다. 2012년 초에 낙찰 업체가 선정될 예정이며, 2015년 1/4분기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2. 사우디 아람코와 다우의 석유화학 콤플렉스 중 에틸렌 크래커 패키지
아람코와 다우케미칼이 발주하는 에틸렌 크래커 패키지의 EPC입찰에서 쇼트리스트에 올라온 대림산업과 GS건설이 최종 가격을 제출할 예정이며, 발주처에서는 이를 반영하여 조만간 낙찰업체를 선정할 예정이다. 이 패키지는 연간 120만 톤의 에틸렌과 40만 톤의 프로필렌을 생산하는 크래커를 쥬베일에 건설하는 10억 불 규모의 대형사업으로, 지난 4월에 마감된 입찰에서 대림산업이 최저가를 제출하였으며, GS건설이 2위, 테크닙이 3위, 삼성엔지니어링이 4위를 한 바 있다.
3. 사우디 쿠라인 석유화학산업회사 (QPIC)의 PTA/PET 플랜트 프로젝트
쿠웨이트의 쿠라인 석유화학산업회사 (QPIC)는 쥬베일 산업도시에 PTA와 PET 플랜트를 건설하기로 결정하였으며 현재 사우디 정부의 승인을 받는데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프로젝트는 연산 40만 톤의 PTA와 24만 톤의 PET 플랜트를 건설하는 10억 불 규모의 사업으로 PMC와 EPC업체 선정을 위한 입찰서는 2012년 상반기에 발급될 예정이다.
4. 카타르 QP와 쉘의 라스라판 올레핀 콤플렉스 프로젝트
카타르 석유공사 (QP)와 쉘이 공동으로 추진하는 올레핀 콤플렉스에 대한 FEED와 PMC에 대한 입찰 방법과 일정이 오는 6월 말에 결정된다. 이 프로젝트는 에틸렌과 모노에틸렌글리콜 (MEG) 그리고 에틸렌계 다운스트림 공장을 라스라판에 건설하는60억 불 규모의 초대형 사업으로, 원료는 쉘 GTL 콤플렉스에서 공급받는다. 현재 포스터휠러가 FEED와 PMC입찰에 대한 자문을 맡고 있으며, 입찰 전략에 대해 발주처와 협의하고 있다.
5. UAE 가스코의 합산 이산화탄소 회수시설 프로젝트
가스코가 발주하는 이산화탄소 회수시설 프로젝트의 기술제안서 제출일이 지난 6월 13일에 마감되었으며 삼성엔지니어링, 현대건설, SK건설, 테크닙, CTCI, L&T, 펀지로이드, CCC 등의 8개사가 참여하였다. 이 프로젝트는 합산 유전지대에서 이산화탄소를 회수하고 주입하는 시설을 건설하는 1억 불 규모의 사업으로, 압축기 사양의 잦은 변경으로 기술제안서 제출일이 지난 3월에서 계속 연장되었으며, 앞으로도 기술 사항이 더 변경될 것으로 입찰자들은 예상하고 있다.
6. UAE 가스코의 합산 질소주입시설 프로젝트 중 질소 파이프라인 패키지
가스코가 발주하는 합산 질소주입시설 프로젝트 중 질소 파이프라인 패키지에 대한 PQ가 실시 중인 가운데, 곧 입찰서가 발급될 예정이며 기술제안서의 제츨일은 7월 12일, 상업제안서는 8월 23일로 정해졌다. 그러나 8월이 라마단인 관계로 입찰 마감일은 연기될 것으로 보인다. 이 패키지는 미프라 질소공장에서 루와이스까지 연결하는 70-80킬로미터의 질소 파이프라인 (직경48인치)을 연결하는 사업이다.
7. UAE 연방수전력청의 라스 알카이마 담수공장 프로젝트
UAE의 연방수전력청 (FEWA)이 발주한 라스 알카이마 담수공장 프로젝트를 미국의 아쿠아테크가 지난 6월 10일 8천2백만 불에 수주하였다. 이 프로젝트는 일산 1천5백만 갤론의 RO형 담수공장을 라스 알카이마 토후국의 갈릴라 (Ghalilah)지역에 EPC로 건설하는 사업으로 2013년 하반기에 준공될 예정이다.
8. 이라크 쉘의 마즈눈 원유 파이프라인 패키지
쉘이 발주한 마즈눈 (Majnoon) 원유 파이프라인 패키지를 인도의 도쌀이 펀지로이드와 사이펨의 경쟁을 꺾고 지난 6월 15일 1억 불에 수주하였다. 이 패키지는 마즈눈 유전지대에서 파오 (Fao)항의 원유저유소까지 74킬로미터의 32인치 원유 파이프라인을 건설하는 공사로 2012년 하반기에 완공될 예정이다. 쉘은 페트로나스 및 이라크 정부와 조인트벤처를 구성하여 이라크 남부 지역에 위치한 마즈눈 유전을 20년동안 개발하는 계약을 지난 1월에 체결하였으며, 지난 3월 31일 2.4억 불 규모의 원유 조기생산시설 (EPF) 패키지를 페트로팩에게 발주한 바 있다.
9. 이라크 전력부의 4개 발전소 프로젝트
전력부가 발주하는 4개 발전소 프로젝트의 EPC 입찰서가 오는 6월 말에 발급된다. 이번에 실시되는 입찰은 바지(Baji)지역에 960MW, 타자(Taza)지역에 265MW, 사드르(Sadr)지역에 320MW, 루마일라(Rumaila)에 1,325MW의 발전소를 건설하는 시업으로, 전력부는 이미 지난 2009년에 지멘스와 가스터빈 구입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10. 이라크 전력부의 나자프 발전소 프로젝트
이라크 전력부가 발주한 나자프 발전소 프로젝트를 바그다드회사가 지난 6월 15일 1.3억 불에 수주하였다. 이 프로젝트는 500MW급 가스화력 발전소를 나자프 (Najaf)에 EPC로 건설하는 사업으로, 공사 기간은 18개월이며, 미국의 GE가 125MW규모의 터빈 4기를 공급한다.
(입력:
'중동플랜트소식 (2005-2014)'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동플랜트소식 (No.300, 2011년 06월 27일) (0) | 2011.06.28 |
---|---|
중동플랜트소식 (No.299, 2011년 06월 23일) (0) | 2011.06.24 |
중동플랜트소식 (No.297, 2011년 06월 09일) (0) | 2011.06.09 |
중동플랜트소식 (No.296, 2011년 06월 01일) (0) | 2011.06.01 |
중동플랜트소식 (No.295, 2011년 05월 25일) (0) | 2011.05.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