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세상의 모든 플랜트 프로젝트 정보

중동플랜트소식 (No.234, 2010년 07월 10일) 본문

중동플랜트소식 (2005-2014)

중동플랜트소식 (No.234, 2010년 07월 10일)

조성환 2011. 3. 4. 23:44

1. UAE 아부다비 수전력청의 슈웨이핫 3단계 민자 발전 프로젝트

아부다비 수전력청 (ADEWA)이 발주하는 슈웨이핫 3단계 (S3) 민자 발전 프로젝트의 입찰 마감일이 다시 7 26일로 연장된 가운데, 입찰에 초청받은 15개 업체 중 6개 그룹이 은행단과의 제휴에 성공하면서 적극 공세로 나오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1,600 MW의 발전소를 BOO로 건설하는 18억 불 규모의 대형사업으로, 현재까지 알려진 바로는
영국 인터내셔날 파워와 일본 토쿄전력은 금융파트너로 독일 배이언LB와 일본 SMB, EPC 파트너로는 도시바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일본 마루베니는 프랑스 크레디 아그리콜과 영국 스탠다드 차타드와 제휴하였으며, 현대건설이 EPC파트너로 참여한다. 일본 미쯔이는 프랑스 소시에테 제네랄 및 도쿄미쓰츠비시은행과, EPC파트너로는 미쓰비시 중공업과 각각 팀을 구성하였으며, 일본 스미토모와 한전은 금융 파트너로 프랑스 BNP파리바와 일본 미즈호은행을, EPC파트너로 지멘스와 대우건설을 지명하였다. 마지막으로, 프랑스 GDF수에즈는 사우디 삼바와 프랑스 나티시은행과 팀을 구성하여 입찰을 준비하고 있다.

2. UAE
타크리어의 통합 파이프라인 2단계 프로젝트


타크리어가 발주하는 통합 파이프라인 2단계 프로젝트의 기술 제안서 제출 마감일이 7 5일에서 20일로 연기되었다. 이로 인하여 상업 제안서의 제출 마감일 역시 당초의 7 22일에서 8월 말까지 순연될 것으로 보인다. 이 프로젝트는 900 킬로미터의 파이프라인과 24기의 저장 탱크, 그리고 첨단 CCTV로 구성된 보안시스템을 건설하는 8억 불 규모의 EPC공사로 삼성엔지니어링, 사이펨, 테킨트, 테크닙, CCC, 도쌀 등 6개사가 경합하고 있다.

3.
사우디 SWCC와 마라픽의 얀부 발전 및 담수 3단계 프로젝트


사우디의 국영 해수담수화공사 (SWCC)와 마라픽이 공동으로 발주하는 얀부 발전 및 담수 3단계 프로젝트의 EPC 입찰서가 발급되었으며 입찰 마감일은 9 22일이다. 이 프로젝트는 1,700 MW의 화력발전소와 일산 55만 입방미터의 담수공장을 얀부에 건설하는 30억 불 규모의 사업으로, 입찰은 발전과 담수 두개로 나누어 EPC 방식으로 발주되며 공사기간은 3년이다.

4.
사우디 마덴과 알코아의 라스알주르 알루미늄 콤플렉스 프로젝트


마덴과 알코아가 공동으로 발주하는 알루미늄 압연공장 건설공사의 입찰서가 오는 7월 하순에 발급될 예정인 가운데, EPCM 업체인 플루어는 입찰참여 예상업체들과 바레인에서 1차 미팅을 하였다. 이 프로젝트는 연산 45만 톤의 압연공장을 2013년 말까지 건설하는 공사로 한국업체로는 대림산업, 삼성엔지니어링, 현대중공업 등이 관심을 갖고 입찰에 참여할 것으로 보인다. 플루어는 지난 5월에 25억 불의 투자비가 소요되는 알루미늄 압연공장에 대한 EPCM업체로 선정되었으며, 설계와 구매 그리고 시공감리 업무를 맡고 있다.

5.
사우디 국영전력회사의 하일 발전소 확장 프로젝트


사우디 국영전력회사 (SEC)가 발주한 하일 (Hail) 발전소 확장 프로젝트를 현지 1군 건설회사인 알파나르 (Alfanar) 1.22억 불에 계약하였다. 이 프로젝트는 80 MW의 가스터빈 2기와 배열회수보일러 (HRSG), 스위치기어 및 변압기 등을 하일지역에 패스트랙 방식으로 건설하는 EPC사업으로 2011 7월에 완공될 예정이다
.

6.
쿠웨이트 기술협력국 (PTB)의 알주르 민자 담수 및 발전 프로젝트


기술 협력국 (PTB)은 민자 담수 및 발전 프로젝트 (IWPP)에 대한 관련 법 규정이 확정될 때까지, 그 동안 진행되었던 알주르 북부 담수 및 발전 프로젝트의 PQ를 일단 중단시켰다. IWPP 관련 법이 제정되기까지 최소 3개월이 소요될 전망이다. 이 프로젝트는1,500 MW의 발전소와 일산 1억 갤론의 담수공장을 BOO로 건설하는 26억 불 규모의 사업으로, 원래 EPC방식으로 입찰이 실시 중이었으나, 입찰 마감일인 6 26일에 BOO방식으로 변하면서 전격적으로 취소된 바 있다.

7.
이라크 쉘의 마즈눈 원유조기생산시설 패키지


쉘이 추진하고 있는 마즈눈 (Majnoon) 유전개발 프로젝트 프로젝트 중 원유조기생산시설 (EPF) 패키지에 대한 입찰이 마감되었으며 페트로팩, 핼리버튼, 웨더포드 등이 참여하였다. 이 패키지는 일산 50,000 배럴 규모의 중앙처리시설 3기와 15개의 유정 시추시설을 건설하는 10억 불 규모의 사업으로, 발주처는 이들의 프로포잘을 검토하고 있으며 조만간 낙찰 업체를 발표할 예정이다. 쉘은 페트로나스 및 이라크 정부와 조인트벤처를 구성하여 이라크 남부 지역에 위치한 마즈눈 유전을 20년간 개발하는 계약을 지난 1 17일에 체결하였으며, 기존의 일산 45,000배럴의 원유시설을 2012년까지 175,000배럴로 늘리고, 종국적으로는 180만 배럴까지 크게 증가시킬 계획이다.

8.
요르단 수관개부의 코프란자 폐수처리시설 프로젝트


요르단의 수관개부 (Water & Irrigation Ministry)에서 발주하는 코프란자 (Kofranja) 폐수처리장 프로젝트의 입찰서가 발급되었으며, 입찰 마감일은 8 10일이다. 이 프로젝트는 일일 9,000 입방미터의 폐수처리시설을 건설하는 사업으로, 낙찰 업체는 설계, 구매 및 건설과 함께 2년동안의 플랜트 운영이 포함되어 있다.

9.
이집트 이켐의 알렉산드리아 에틸렌 크래커 프로젝트


이집트 국영석유화학회사 (Echem)가 발주하는 알렉산드리아 에틸렌 크래커 프로젝트의 입찰에서 삼성엔지니어링, 도요엔지니어링, 사이펨, 테크니몽 등 4개사가 지난 7 4일 최종 가격을 제출하였다. 이 프로젝트는 ABB 루무스의 기술을 사용하여 연산 75만내지 100만 톤 규모의 에틸렌 크래커를 알렉산드리아에 건설하는20억 불 규모의 EPC사업으로 오는 7월 말 혹은 8월 초에 최저가 업체 명단이 발표될 예정이다.


(
입력: 2010 7 10)

728x90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