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세상의 모든 플랜트 프로젝트 정보

중동플랜트소식 (No.493, 2014년 05월 25일) 본문

중동플랜트소식 (2005-2014)

중동플랜트소식 (No.493, 2014년 05월 25일)

조성환 2014. 5. 25. 18:04

1.  UAE 아드코의 루마이타 및 샤나엘 원유생산시설 프로젝트

 

 

 

아드코가 발주하는 NEB(North East Bab) 유전개발 3단계 개발 프로그램 중 루마이타 및 샤나엘 원유생산시설 프로젝트를 GS건설도쌀의 컨소시엄이 대림산업, SK건설현대건설테크닙, 사이펨페트로팩테크니카스 리유니다스 등의 경쟁을 제치고 지난 5 19 14.4억 불에 계약하였다. 이 프로젝트는 아부다비에서 남동쪽으로 30킬로미터 떨어진 루마이타(Rumaitha)와 샤나옐(Shanayel) 2개 육상 유전지대 위치한 원유생산시설을 기존의 일산 46,000배럴에서 85,000배럴로 증설하는 사업으로, GS건설은 도쌀과 51%  49%의 지분으로 참여해 원유생산시설과, 파이프라인 및 유틸리티공사를 수행하게 된다. GS건설이 수주한 금액은 7.3억 불로 주요 원유처리시설 공사를 담당하며 도쌀은 파이프라인과 부대설비 공사를 맡는다. 테크닙이 FEED를 완료하였으며 모트 맥도날드가 PMC를 맡고 있다.

 

2.  UAE 아드마옵코의 나스르 해상유전개발 2단계 프로젝트 중 패키지 1

 

 

아드마옵코가 발주하는 나스르(Nasr) 해상유전개발 2단계 프로젝트 중 패키지 1번의 입찰이 지난 5 4일에 마감되었으며 맥더모트(McDermott) 8.5억 불의 최저가를 제출하였다. 이어 2위에는 NPCC, 3위에는 현대중공업이, 4위에는 페트로팩이, 5위에는 사이펨이 각각 차지하였다. 이 패키지는 플랫폼 7기와 해저 및 수출용 파이프라인 등을 EPC로 건설하는 사업으로 낙찰 업체 선정은 오는 6월에 이루어질 예정이다.

 

3.  UAE 아드마옵코의 나스르 해상유전개발 2단계 프로젝트 중 패키지 2

 

아드마옵코가 발주하는 나스르(Nasr) 해상유전개발 2단계 프로젝트 중 패키지 2번의 상업 제안서 제출이 지난 5 6일에 마감되었으며 현대중공업KBR의 컨소시엄이 최저가를 제출하였다. 이 패키지는 하루에 65,000배럴의 원유를 추가로 생산하기 위한 유정 플랫폼 3가스 및 원유처리시설수처리시설유틸리티 플랫폼주거시설발전시설 등을 건설하는 15억 불 규모의 EPC사업으로 에이멕이 PMC를 맡고 있으며, EPC업체는 오는 6월에 발표될 예정이다

 

4.  UAE 보팍 호라이존의 푸자이라 오일 터미널 7단계 확장프로젝트

 


보팍 호라이존(Vopak Horizon)이 발주한 푸자이라 오일 터미널 7단계 확장프로젝트를 싱가포르의 오덱스(Audex)가 지난 5 12 1억 불에 수주하였다. 이 프로젝트는 478,000입방미터의 저장용량을 갖춘 탱크 7기를 추가로 건설하는 7번 째 확장사업으로 2016 6월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5.  쿠웨이트 KNPC LPG 트레인 5 프로젝트

 

KNPC가 발주하는 LPG 트레인 5 프로젝트의 EPC PQ GS건설이 추가로 통과됨에 따라, 입찰자 명단은 기존의 ▷대림산업, SK건설, ▷삼성엔지니어링, ▷현대건설, ▷현대중공업, ▷사이펨, ▷테크니카스 리유니다스, ▷페트로팩 등을 포함하여 총 9개로 늘어났다. 이 프로젝트는 일산 8.05억 입방피트의 가스처리 플랜트를 미나 알아흐마디 정유공장 내에 건설하는15억 불 규모의 사업으로 에이멕(AMEC) FEED PMC를 맡고 있으며, EPC입찰은 오는 6월에 실시될 예정이다.

 

6.  쿠웨이트 KNPC의 신규 정유공장 프로젝트 중 패키지1

 

  

 

KNPC는 지난 5 18일 신규 정유공장 프로젝트 중 2개의 프로세스 패키지와 하나의 간접 및 동력시설(O&U) 패키지에 대한 EPC PQ통과 업체를 공식으로 발표하였다. 그 중 45억불 규모의 패키지 1번은 증류잔사유탈황 및 수첨처리시설 등을 건설하는 사업으로, JGC, SK건설 및 GS건설의 컨소시엄, 페트로펙, 삼성엔지니어링 및 CB&I의 컨소시엄플루어, 현대중공업 및 대우건설의 컨소시엄, 사이펨, 현대건설/현대엔지니어링 JV 및 대림산업의 컨소시엄, 테크니카스 리유니다스, 시노펙 및 한화건설의 컨소시엄, KBR 및 중국 HQCEC의 컨소시엄 등 6개 그룹이 PQ에 통과되었다. PQ에 참여한 치요다 컨소시엄은 불참을 선언하였으며 합투어 레이튼그룹과 STX 중공업은 탈락되었다. CFP입찰과 마찬가지로 JGC, SK건설 및 GS건설의 컨소시엄이 이 패키지에 승부를 걸 것으로 전망된다.

 

7.  쿠웨이트 KNPC의 신규 정유공장 프로젝트 중 패키지 2

 

패키지 2번은 하이드로젠과 유황회수시설을 건설하는 23억 불 규모의 사업으로 패키지 1번과 마찬가지로 JGC, SK건설 및 GS건설의 컨소시엄, 페트로펙, 삼성엔지니어링 및 CB&I의 컨소시엄플루어, 현대중공업 및 대우건설의 컨소시엄, 사이펨, 현대건설/현대엔지니어링 JV 및 대림산업의 컨소시엄, 테크니카스 리유니다스, 시노펙 및 한화건설의 컨소시엄, KBR 및 중국 HQCEC의 컨소시엄 등 6개 그룹이 PQ에 통과되었다. 페트로펙, 삼성엔지니어링 및 CB&I의 컨소시엄과 사이펨, 현대건설/현대엔지니어링 JV 및 대림산업의 컨소시엄이 격돌할 것으로 예상되는 패키지다.

 

8.  쿠웨이트 KNPC의 신규 정유공장 프로젝트 중 패키지 3 

 

패키지 3번은 동력 및 간접시설을 건설하는 22억 불 규모의 사업으로 JGC, SK건설 및 GS건설의 컨소시엄, 삼성엔지니어링, 페트로펙 및 CB&I의 컨소시엄플루어, 현대중공업 및 대우건설의 컨소시엄, 사이펨, 현대건설/현대엔지니어링 JV 및 대림산업의 컨소시엄, 테크니카스 리유니다스, 시노펙 및 한화건설의 컨소시엄, KBR 및 중국 HQCEC의 컨소시엄 등 6개 그룹이 입찰에 초청받았다. PQ를 제출한 합투어레이튼, STX중공업, 동아건설산업, 에싸르, 펀지로이드, GCC 등은 탈락했다. CFP와 마찬가지로 플루어, 현대중공업 및 대우건설의 컨소시엄은 이 패키지에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9.  쿠웨이트 KNPC의 신규 정유공장 프로젝트 중 패키지 4

 

지난 4 13일에 발급된 패키지 4번 저장시설의 EPC입찰 마감일이 9 4일로 예정된 가운데, GS건설이 추가로 입찰에 초청받았다. 이에 따라 기 초청받은 ▷대림산업, ▷대우건설, ▷페트로팩/현대중공업의 컨소시엄, ▷사이펨/인도 에싸르 컨소시엄 등과 경합을 벌이게 된다. 이 패키지는 11억 불 규모의 저장시설(Tank Farm)을 알주르에 건설하는 EPC사업으로, 상세설계를 이미 수행한 바 있는 대림산업이 일단은 입찰에 유리할 것으로 전망된다.

 

10. 쿠웨이트 KNPC의 신규 정유공장 프로젝트 중 패키지 5

 

패키지 5번인 해상시설의 입찰 마감일이 오는 9 4일로 예정된 가운데, GS건설이 추가로 입찰 대열에 합류하였다. 이 패키지는 9억 불 규모의 해상시설(Marine Facilities) EPC로 건설하는 사업으로, PQ에 통과한 업체 중 사이펨/현대건설/SK건설의 컨소시엄, 페트로팩/현대중공업의 컨소시엄, 대림산업 등이 입찰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11. 카타르 QP의 불 하닌 해상 유전개발 프로젝트

 

카타르 석유공사(QP)는 총 110억 불을 투자하여 불 하닌(Bul Hanine) 해상 유전개발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고 지난 5 18일 밝혔다. 이 프로젝트는 카타르 동쪽 해안에서 120킬로미터 떨어져 있으며 걸프지역에서 4번 째로 큰 불 하닌(Bul Hanine) 유전단지에 일산 약 45,000배럴 규모의 해상 원유생산시설, 미사이드 육상 가스처리 플랜트, 150킬로미터 파이프라인등을 건설하는 초대형 사업으로 현재 사전 기본설계 단계에 있다.

 

12. 오만 선 메탈의 수르 철강 플랜트 프로젝트

 

선 메탈(Sun Metals)은 지난 5 13일 수르 철강 플랜트 프로젝트의 기술 제공업체로 포스코건설을 선정하였으며, 일본의 소지쓰와는 제품에 대한 장기 구매계약(Offtake Agreement)을 체결하였다. 이 프로젝트는 당초 계획보다 2배나 큰 연산 240만 톤의 종합 철강플랜트를 수르 산업단지에 건설하는 4억 불 규모의 사업이다지난 2011년 하반기에 프로젝트의 추진이 중단된 바 있으나, 발주처인 인도의 선 메탈이 2013년 초 영국의 스틸워크스 엔지니어링 시스템(Steelworks Engineering Systems)을 프로세스 컨설턴트로 선정하면서 재추진되고 있다.

 

13. 이라크 ENI의 주바이르 그린필드 원유생산시설 프로젝트 중 남부 가스제거시설 패키지

 

에니(ENI)가 발주하는 주바이르 그린필드 원유생산시설 프로젝트 중 남부 가스제거시설(Degassing Station) 패키지를 대우건설이 지난 5 19 5.5억 불에 계약하였다. 이 프로젝트는 일산 10만 배럴 규모의 가스제거시설과 부대설비를 바스라의 주바이르 유전단지에 EPC로 건설하는 사업으로 2016 11월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14. 요르단 에너지광물자원부의 암만 정유제품저장 터미널 프로젝트

 

요르단 에너지광물자원부가 발주한 암만 정유제품저장 터미널 프로젝트를 스페인의 OHL과 현지 MID 컨소시엄이 지난 5 19일 롯데건설/현대엔지니어링 컨소시엄과 중국 CPP의 경쟁을 꺾고 1.65억 불의 수주에 성공하였다. 계약은 라마단이 시작되기 전인 오는 6 28일에 체결된다. 이 프로젝트는 총 용량 25만 내지 30만 톤 규모의 오일 탱크 13기와 용량 8,000톤 규모의 LPG탱크 4기 및 적하시설이 포함된 터미널을 암만의 동쪽에 건설하는 사업으로 ILF PMC를 맡고 있다.

 

15. 알제리 소나트랙과 렙솔의 레간 가스전개발 프로젝트

 

 

소나트랙과 렙솔의 컨소시엄이 발주한 레간 가스전개발 프로젝트를 페트로팩(Petrofac)이 지난 5 18 9.76억 불에 계약하였다. 이 프로젝트는 알제리의 레간(Reggane)을 포함한 6개 가스전에서 일산 8백만 입방미터의 가스를 생산하기 위한 가스처리 플랜트, 가스 취합시설, 파이프라인과 관련 인프라를 건설하는 EPC사업으로 계약기간 3년이다. 이 프로젝트의 발주처는 소나트랙 40%, 렙솔 29.25%, RWE-DEA(독일) 19.5%, 에디슨(이태리) 11.25%의 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16. 알제리 호드나시멘트와 PPC의 마그라 시멘트 플랜트 프로젝트

 

알제리 호드나(Hodna) 시멘트와 남아프리카의 PPC(Pretoria Portland Cement Ltd.)는 공동으로 마그라 지역에 시멘트 플랜트를 건설하기로 지난 5 14일에 합의하였다. 이 프로젝트는 연산 220만 톤의 시멘트 플랜트를 마그라(Maghra) 지역에 건설하는 3.5억 불 규모의 사업으로 공사기간은 22개월이며 오는 6월에 착공하여 2016 4월에 준공할 예정이다.  

 

(입력: 2014 5 25)

728x90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