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세상의 모든 플랜트 프로젝트 정보

중동플랜트소식 (No.390, 2012년 12월 04일) 본문

중동플랜트소식 (2005-2014)

중동플랜트소식 (No.390, 2012년 12월 04일)

조성환 2012. 12. 4. 20:50

1.  사우디 마덴의 움 우알 인산콤플렉스 프로젝트

 

 

 

사우디 광업공사인 마덴(Maaden)이 발주하는 움 우알(Umm Wu’al) 인산콤플렉스 프로젝트의 PMC업무를 미국의 플루어가 지난 12 1 2억 불에 계약하였다. 이 프로젝트는 연간 10만 톤의 식품용 인산, 9만 톤의 공업용 인산, 9만 톤의 공업용 트리폴리 인산나트륨, 25만 톤의 인산이칼슘/인산이수소칼슘, 28만 톤의 인산 복합비료를 생산하는 콤플렉스를 사우디 북쪽의 움 우알지역에 건설하는 사업으로, 플루어는 타당성조사와 FEED에 대한 감리, EPC입찰 전략 및 개발, EPC업체에 대한 프로젝트관리와 시공감리 등의 업무를 맡게된다.

 

2.  사우디 국영메탄올회사의 폴리아세탈 플랜트 프로젝트

 

사우디의 국영메탄올회사인 이븐시나(Ibn Sina)가 발주하는 폴리아세탈 플랜트 프로젝트의 EPC입찰이 지난 1128일에 마감되었으며 SK건설, 한화건설, 드라가도스, CTCI, CNCEC(China National Chemical Engineering Co.) 5개사가 참여하였다. 이 프로젝트는 연산 5만 톤 규모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인 폴리아세탈 (Polyacetal) 플랜트를 쥬베일에 건설하는 4억 불 규모의 사업으로 2015년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발주처인 이븐시나는 사빅과 미국 셀라니즈 및 듀크에너지의 합작법인이다.

 

3.  사우디 아람코의 지잔 정유공장 프로젝트 중 납사 리포머 및 아로마틱스 패키지

 

아람코가 발주하는 지잔 정유공장 프로젝트 중 납사 리포머 및 아로마틱스 패키지를 일본 JGC지난 11 14 10.4억 불에 계약한데 이어, 대우건설11 29일 공시를 통해 JGC와 조인트벤처 협정을 맺었다고 밝혔다. 이 패키지는 지잔 정유공장 프로젝트 중 납사 리포머와 아로마틱스 플랜트를 EPC로 건설하는 사업으로 총 계약금액 10.4억 불 가운데 대우건설 분은 50%이며 그 업무범위는 건설공사인 것으로 알려졌다.

 

4.  사우디/쿠웨이트 KJO의 와프라 유전지대 파이프라인 교체사업

 

KJO가 발주하는 와프라 유전지대 파이프라인 교체 프로젝트를 쿠웨이트의 무쉬립(Mushrif)이 지난 11 28 4천만 불에 수주하였다. 이 프로젝트는 와프라 유전지대의 기존 파이프라인을 교체하는 사업으로 공사 기간은 3년이다.

 

5.  쿠웨이트 KOC의 쥬라기 유정 파이프라인 프로젝트

 

KOC가 발주하는 쥬라기 유정 파이프라인 프로젝트의 입찰에서 최저가를 제출한 현지의 MECC(Mechanical Engineering & Contracting Co.)가 지난 11 29일 중앙입찰위원회(CTC)의 승인을 득하면서 2.07억 불의 수주에 성공하였다. 이 프로젝트는 쿠웨이트 북부 유전지대의 쥬라기 유정에서 집유장까지 연결하는 원유 파이프라인을 설치하는 사업으로 2014 12월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6.  쿠웨이트 KOC의 쿠웨이트 남동부지역 파이프라인 프로젝트

 

KOC가 발주하는쿠웨이트 남동부지역 파이프라인 프로젝트의 입찰에서 최저가를 제출한 현지의 아라비 에너텍(Arabi Enertech)이 지난 11 26일 중앙입찰위원회(CTC)의 승인을 득하면서 98백만 불의 수주에 성공하였다. 이 프로젝트는 쿠웨이트 남동부 유전지대에서 27.7킬로미터의 6인치 파이프라인을 건설하는 사업으로 공사 기간은 30개월이다. 아울러, 아라비 에너택은 지난 10 18 KOC발주의 북부지역 파이프라인 공사를 59백만 불에 수주한 바 있다.

 

7.  카타르 정부의 1,800MW 태양광 발전소 프로젝트

 

카타르 정부는 1,800MW규모의 초대형 태양광 발전소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으며 2014년에 입찰을 실시할 계획이라고 12 2일 밝혔다. 이 프로젝트는 카타르 전체 전력 생산량의 16%에 달하는 1,800MW급 초대형 태양광 발전소를 2018년까지 건설하는 초대형 사업으로 투자비는 100-200억 불이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8.  카타르 수전력청의 태양광 발전소 프로젝트

 

카타르 수전력청(Kharamaa) 220MW규모의 태양광 발전소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고 지난 12 3일 밝혔다. 이를 위해 1단계로 3천만 불 규모에 달하는 5-10MW급 태양광 발전소 건설 패키지의 입찰서가 2013 3월에 발급되며, 2단계로 향후 8년 동안 150-200MW규모의 태양광 발전소를 순차적으로 건설될 예정이다.

 

9.  오만 가스회사의 두쿰 가스파이프라인 프로젝트

 

오만 가스회사(OGC)가 발주하는 두쿰 가스파이프라인 프로젝트의 FEED가 왼료되었으며 또한 자재공급 계약이 2013 1/4분기에 체결될 예정인 가운데, EPC입찰이 오는 2013년 상반기에 실시된다. 이 프로젝트는 오만 중부의 사이 니하이다(Saih Nihayda) 가스전으로부터 두쿰 경제특별지역에 하루 25백만 입방미터의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240 킬로미터의 직경 36인치 파이프라인을 건설하는 2.5억 불 규모의 공사로 EPC업체는 2013년 말에 선정될 예정이다.

 

10. 바레인 공공사업부의 투블리 폐수처리장 확장 프로젝트

공공사업부가 발주하는 투블리 (Tubli) 폐수처리장 확장 프로젝트의 입찰이 PPP에서 EPC방식으로 바꾸어 2013년 말에 실시될 예정이다. 이 프로젝트는 하루 처리용량이 20만 입방미터인 기존의 투블리 폐수처리장을 2배인 40만 입방미터로 확장하는 EPC사업으로 독일의 p2m베를린이 컨설팅을 맡고 있다.

 

11. 이라크 루크오일의 웨스트 쿠르나 2단계 유전개발사업

 

러시아의 루크오일이 이라크에서 발주하는 웨스트 쿠르나(West Qurna) 2단계 유전개발사업의 PMC업무를 호주의 월리파슨스가 지난 1128 82백만 불에 수주하였다. 월리파슨스는 3년의 계약기간 동안, EPC업체들에 대한 프로젝트관리와 시공감리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12. 이라크 석유부의 나씨리야 정유공장 및 유전지대개발 프로젝트

 

이라크 석유부가 진행하는 나씨리야 정유공장 및 유전지대 개발 프로젝트의 PQ제출일이 당초의 12 13일에서 2013 1 15일로 약 1개월 연기되엇다. 이 프로젝트는 40억 배럴의 나씨리야 유전을 개발하고 일산 30만 배럴의 정유공장을 건설하는 80억 불 규모의 사업으로 정유공장 프로젝트의 FEED는 포스터휠러가 완료하였다.

 

13. 이태리 EPC업체 테크니몽의 자금 유동성 문제

 

폴리머 분야의 대표적 EPC업체인 테크니몽은 최근에 완료하거나 혹은 진행 중인 프로젝트들에게서 대규모 손해가 발생됨에 따라 자금 유동성에 심각한 문제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테크니몽 본사 경영진은 모든 프로젝트의 벤더 및 자재공급업체들에게 기성금 지급을 중단하는 결정을 내렸으며, 각 현장에서는 어떠한 형태의 자금 지급도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상태다.

 

14. 합투어 레이튼그룹과 존 홀랜드의 물환경사업 합작법인 설립

 

합투어 레이튼그룹(HLG)과 존 홀랜드는 중동의 물환경사업에 본격적으로 진입하기 위해 지난 11 28일 합작법인을 설립하였다. 이 합작법인의 이름은 AWE(Advance Water & Environment)사로 본사를 두바이에 두고, 담수, 폐수처리, 물저장 및 송수, 기타 환경 프로젝트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예정이다. 중동에서는 앞으로 5년 동안 약 500억 불의 물환경 프로젝트가 발주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15. 미쯔비시 중공업과 히타치, 화력발전소 프로젝트 수주를 위해 합작법인 설립

 

일본의 미쯔비시 중공업과 히타치는 화력발전소 프로젝트 시장에서 GE 및 지멘스와 경쟁하기 위해 합작법인을 설립하는 햡약서를 지난 12 3일 체결하였다. 미쯔비시와 히타치는 65 35의 지분으로 2014 1월까지 합작법인을 설립하여 GE와 지멘스가 주도하고 있는 대형 화력발전소 시장에 뛰어들 예정이다.

 

(입력: 2012 12 4)

728x90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