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세상의 모든 플랜트 프로젝트 정보
중동플랜트소식 (No.294, 2011년 5월 18일) 본문
1. 사우디 사빅과 엑슨모빌의 쥬베일 합성고무 플랜트 프로젝트
사빅과 엑슨모빌의 합작법인인 켐야 (Kemya)가 추진하는 쥬베일 합성고무공장 프로젝트의 FEED업체와 라이센서가 선정되었다. 엘라스토머 (Elastomers) 공정의 FEED에는 제이콥스와 미쯔이조선이 수주하였으며 간접시설 패키지에는 플루어가 맡았다. 그리고 발주처에서는 카본블랙 플랜트와 관련하여 미국의 콘티넨탈 카본과 지난 5월 15일 장기 라이선스계약과 제품구매계약 (Off-take Agreement)을 체결하였으며, 합성고무 (SBR)와 폴리부타디엔 고무의 기술은 굿이어타이어에서 제공한다. 이 프로젝트는 연산 40만 톤의 카본블랙과 합성고무 플랜트를 건설하는 대형 사업으로 20억 불 규모에 달하는 EPC 입찰은 아래의 3개 패키지로 나누어 금년 하반기에 실시될 예정이다.
패키지 1번: EPDM 및 폴리부타디엔 고무 (PBR) (8억 불)
패키지 2번: 할로겐화 부틸 고무 (6억 불)
패키지 3번: 간접시설 (6억 불)
2. 사우디 페트로라빅의 2단계 라빅 석유화학 콤플렉스 프로젝트
아람코와 스미토모화학의 합작법인인 페트로라빅이 발주하는 2단계 라빅 석유화학 콤플렉스 프로젝트의 EPC 입찰서가 지난 5월 17일 발급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에탄크래커와 연산 3백만 톤 규모의 아로마틱스 공장을 포함한 17개의 화학공장을 건설하는 60-80억 불 규모의 초대형 사업으로, EPC입찰은 아래와 같이 7개 패키지로 나누어 실시된다.
패키지 1번: 에틸렌 크래커
패키지 2번: 아로마틱스 콤플렉스
패키지 3번: 석유화학 1 (큐멘, 페놀 및 사이클로헥산)
패키지 4번: 석유화학 2 (카프로락탐 및 나일론 6)
패키지 5번: 석유화학 3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및 저밀로폴리에틸렌)
패키지 6번: 석유화학 4 (MTBE)
패키지 7번: 석유화학 5 (아크릴산 및 고흡수성폴리머)
3. 사우디 사프코의 요소공장 확장 프로젝트
사프코 (Safco)가 발주하는 5 번째 요소공장 프로젝트의 EPC입찰서가 발급되었으며 삼성엔지니어링, 대림산업, 치요다, 우데, 사이펨과 테크닙의 컨소시엄, KBR 등의 6개사가 입찰에 초청받았다. 이 프로젝트는 쥬베일의 사프코 콤플렉스 내에 일산 3,250톤의 5 번째 요소공장를 추가로 건설하는 5억 불 규모의 EPC사업으로 2011년 말에 낙찰 업체가 선정될 예정이다.
4. 사우디 사빅과 미쯔비시 레이온의 MMA 플랜트 프로젝트
사빅과 미쯔비시 레이온이 공동으로 발주하는 MMA플랜트 프로젝트의 FEED입찰서가 발급되었으며, 월리파슨스, 제이콥스, 테크닙, 테크니카스 리유니다스 등이 경쟁을 벌이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연산 25만 톤의 MMA 플랜트를 건설하는 10억 불 규모의 사업으로 기술은 미쯔비시 레이온이 인수한 영국 화학기업 루사이트 (Lucite)의 알파 프로세스가 채택되었다. EPC 입찰서는 FEED가 완료되는 2012년 중반에 발급될 예정이다.
5. 사우디 마덴과 사하라석유화학의 가성소다 및 염화에틸렌 플랜트 프로젝트
사우디 마덴과 사하라석유화학은 7.5억 불을 투자하여 가성소다와 염화에틸렌 (EDC) 플랜트를 건설하기 위한 합작 계약서를 체결하였다. 이 프로젝트는 연산 25만 톤의 가성소다와 30만 톤의 염화에틸렌 플랜트를 쥬베일 산업단지 내 사하라 석유화학 콤플렉스에 건설하는 사업으로, 생산되는 가성소다 전량은 라스 알주르 알루미나 제련소에 사용하기로 양사가 합의하였다.
6. 사우디 아람코의 라스탄누라 클린퓨얼 및 아로마틱스 프로젝트
아람코가 GES방식으로는 최초로 발주하는 라스탄누라 클린퓨얼 및 아로마틱스 프로젝트의 사전 기존설계 (Pre-FEED 용역을 지난 5월 17일 제이콥스가 수주하였다. 이 프로젝트는 라스탄누라 정유공장 내에 클린퓨얼시설과 및 아로마틱스 공장을 건설하고 아울러 향후의 환경 규정에 맞추기 위한 정유공장 개보수사업이 포함되어 있다.
7. 사우디 낫펫의 지오텍스타일 플랜트 프로젝트
사우디의 국영석유화학산업회사(Natpet)가 발주하는 지오텍스타일 플랜트 프로젝트의 EPC입찰서가 5월 말이나 6월 초에 발급된다. 이 프로젝트는 연산 15,000톤의 지오텍스타일(Geotextile) 플랜트를 2012년 말까지 얀부의 낫펫 콤플렉스 내에 건설하는 패스트트랙 공사로 기술은 합작 파트너인 영국의 로우앤보나르 (Low & Bonar)가 제공한다.
8. 사우디 전력청의 쿠라야 민자 복합화력발전소 프로젝트
사우디전력청 (SEC)이 발주하는 쿠라야 민자 복합화력 발전소 1단계 프로젝트의 입찰에서 최저가를 제출한 아크와파워와 삼성물산 건설부문의 컨소시엄이 5월 말이나 6월 초에 수주를 확정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사우디전력청이 BOO방식으로는 세 번째로 추진하는2,000 MW규모의 가스복합화력 발전소를 건설하는 민자 사업으로 22억 불의 투자비가 소요될 예정이다.
9. 사우디 SWCC와 마라픽의 얀부 발전 및 담수 3단계 프로젝트
사우디의 국영해수담수화공사 (SWCC)와 마라픽이 공동으로 발주하는 얀부 발전 및 담수 3단계 프로젝트의 입찰 마감일이 7월 23일로 연기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2,500 MW의 화력발전소와 연산 55만 입방미터의 담수공장을 얀부에 건설하는 30억 불 규모의 대형사업으로 입찰은 발전소와 담수공장으로 나누어 실시되고 있으며 특별히 입찰자 명단은 비공개로 진행되고 있다.
10. 사우디 마덴의 송수관 프로젝트
마덴은 타이프 (Taif)에서 부터 사우디 북서쪽에 위치한 금 광산지대까지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직경 20인치의 파이프라인 450킬로미터를 설치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마덴은 타이프에 위치한 하수처리장으로부터 하루에 1만 입방미터의 처리수를 공급받기로 NWC와 합의하였다. 마덴은 이미 PMC선정을 완료하였으며 EPC계약은 2011년 말에 체결할 예정이다.
11. 삼성엔지니어링, 사우디 엔지니어링 센터 준공
삼성엔지니어링은 지난 5월 10일 사우디 내 통합사옥인 SNTV (Sansunf Naffora Techno Valley)를 준공하였다. 삼성엔지니어링은 기존의 사우디 법인과 개별 프로젝트 거점들을 통합하여 프로젝트의 수행은 물론 채용, 교육, 사회공헌 활동에 나설 예정이다. 삼성엔지니어링이 1억 불을 투자하여 쥬베일에 건설한 통합사옥 (엔지니어링 센터)은 5만 평방미터의 대지위에 연면적 3만 8천 평방미터의 사무실과 교육동, 숙소 및 복지시설 등의 4개 건물로 이루어졌다. 1999년 사우디 법인을 설립한 삼성엔지니어링은 올해에만 사우디에서 총 47억달러어치의 사업을 수주했으며, SNTV가 있는 주베일 공단에서 현재 9개 공사를 진행하고 있다.
12. UAE 타크리어의 플레어 가스회수 시스템 프로젝트
타크리어가 발주한 정유공장 플래어 가스회수 시스템 프로젝트의 FEED업무를 사이펨이 테크닙, 월리파슨스, 무스탕, 제이콥스, CH2M힐 등의 경쟁을 꺾고 지난 5월 12일 3백만 불에 수주하였으며, 2012년 1/4분기에 실시될 EPC입찰에서 유리한 위치에 서게 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루와이스와 아부다비 정유공장에서 나오는 플래어 가스를 회수하는 시설을 건설하는 사업으로 계약 기간은 8개월이다.
13. UAE 아부다비기초산업회사와 걸프익스트루죤의 알루미늄 압출공장 프로젝트
UAE의 국영 아부다비기초산업회사 (ADBIC)와 두바이 알구레아그릅의 자회사인 걸프익스트루죤은 알루미늄 압출공장을 아부다비의 칼리파 산업단지 내에 건설하기 위하여 지난 5월 17일 합작법인을 설립하였다. 타윌라 알루미늄 익스트루죤이라는 이름의 합작법인은 향후 2억 불 을 투자하여 235,000평방미터의 부지에 아중동에서는 최초로 연산 5만 톤의 압출공장을 건설할 계획이다.
14. 쿠웨이트 KNPC의 No. 5 가스트레인 프로젝트
KNPC가 발주하는 No. 5 가스트레인 프로젝트의 FEED업체로 지난 4월 아멕이 선정된 가운데, EPC입찰서는 2012년 초에 발급될 예정이다. 이 프로젝트는 대림산업이 수행 중인 No. 4 가스트레인과 거의 비슷한 일산 8억 입방피트의 가스와 10만 배럴의 콘덴세이트 플랜트를 미나 알마흐마디 정유공장 내에 건설하는 10억 불 규모의 사업으로, 아멕이 PMC업무도 수행할 것으로 보인다.
15. 카타르 QP의 도하 신공항 항공유 파이프라인 프로젝트
카타르 석유공사 (QP)가 발주하는 미사이드 정유공장과 도하 신공항간 36킬로미터의 항공유 파이프라인 프로젝트에 대한 EPC입찰서가 발급되었으며 입찰 마감일은 7월 3일이다. 이 프로젝트는 직경 16인치의 항공유 파이프라인과 펌프장, 계량설비, 피깅시설, 콘트롤 및 계장, 통신, 음극방식 등을 건설하는 공사로 FEED는 테보딘이 완료하였다.
16. 오만 알루미늄롤링회사의 알루미늄 압연공장 프로젝트
오만 알루미늄롤링회사가 발주한 소하르 알루미늄 압연공장 프로젝트를 이태리의 화타(Fata)가 지난 5월 9일 3.85억 불에 수주하였다. 이 프로젝트는 연산 16만 톤의 신규 알루미늄 압연공장을 소하르에 건설하는 EPC공사로 지난 1월에 이미 설계는 시작되었으며 오는 7월에 착공하여 2013년 8월에 준공예정이다.
17. 이라크 페트로차이나의 할파야 유전개발 프로젝트
중국의 페트로차이나가 발주하는 이라크 할파야 유전개발 프로젝트 중 첫 번째 패키지인 조기생산시설에 대한 EPC입찰에서 중국의 CPEEC가 테크닙, 페트로팩, KNM, CH2M힐, 말레이시아 해양중공업 (MMHE) 등의 경쟁을 꺾고 지난 5월 15일 1.63억 불에 수주하였다. 이 패키지는 일산 10만 배럴 규모의 조기 원유생산시설과 가스집하시설을 건설하는 공사로, 페트로차이나는 지난 2010년 1월 토탈, 페트로나스 등과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할파야 유전개발 프로젝트를 수주하였으며, 향후 6년 동안 원유 생산량을 하루 3,100배럴에서 535,000배럴로 늘릴 계획이다.
(입력: 2011년 5월 18일)
'중동플랜트소식 (2005-2014)'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동플랜트소식 (No.296, 2011년 06월 01일) (0) | 2011.06.01 |
---|---|
중동플랜트소식 (No.295, 2011년 05월 25일) (0) | 2011.05.25 |
중동플랜트소식 (No.293, 2011년 5월 10일) (0) | 2011.05.10 |
중동플랜트소식 (No.292, 2011년 5월 04일) (0) | 2011.05.04 |
중동플랜트소식 (No.291, 2011년 04월 27일) (0) | 2011.04.27 |